서울교육청·전교조, 기초학력진단 방식 합의 <br />교육청, 학교·교사들이 만든 진단 방식도 인정 <br />교육청·평가원의 표준화된 진단 도구 활용 조건<br /><br /> <br />내년부터 시행될 서울 초등 3학년과 중 1학년 대상 기초학력진단 방식 등을 놓고 서울시교육청과 전교조 등이 그동안 갈등을 빚어왔는데요, <br /> <br />교육청이 전교조의 요구대로 각 학교에 표준화된 진단 도구 사용을 강제하지 않고, 학교나 교사 개인의 진단도 인정해주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권오진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서울시교육청은 전교조 등 교원단체, 학계 전문가들과 넉 달간 논의를 거쳐 기초학력진단에 대한 이견을 대부분 해소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동안 첨예하게 대립했던 기초학력 진단 방식과 관련해 전교조가 요구했던 학교나 교사 개인이 만든 것도 인정해주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교육청이나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의 표준화된 진단 도구 사용을 강제하지 않는 대신 이를 활용해야 한다는 조건을 달았습니다. <br /> <br />[강연흥 / 서울시교육청 교육정책국장 : 교사 혼자서만 꼭 하겠다고 하셔도 인정하되, 대신 진단 도구를 (활용한 결과를) 학교의 교육과정위원회나 성적관리위원회에 제출해주시면 그것으로 동의가 됩니다.] <br /> <br />전교조는 교사 진단 방식 허용을 수용하면서도 이를 문서화 해 줄 것을 강조하는 등 교육청의 약속을 못 미더워하는 눈칩니다. <br /> <br />[김홍태 / 전교조 서울지부 정책실장 : 교육청이 그런 (교사의 진단방식 인정)을 결심을 했으면 확실히 학교장에게 정책적으로 안내해야 하는 거죠. 우리 학교에 가장 맞는 방법들을 찾아가 보자 이런 민주적인 논의도 필요하고요.] <br /> <br />교육청은 이 부분은 문제 될 게 없다며 내년 3월부터 시행될 기초학력진단 검사 준비에 들어갔습니다. <br /> <br />이를 위해 1,000만 원에서 1,500만 원 정도의 기초학력진단 예산집행 계획을 세우라고 일선 학교에 공문을 보냈습니다. <br /> <br />또 학습 부진 학생 지도를 위한 전문 교원 확충 문제에 대해서는 '1인 2교사제'와 학생 맞춤형 지원시스템 도입 예산을 추가로 확보해 나갈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앞서 교육청은 지난 9월 초등 3학년과 중1 때 객관식 시험 형태인 표준화 도구로 기초학력진단을 받게 하는 기초학력 보장방안을 발표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한국교총은 환영했지만, 전교조는 '일제고사 부활'이라고 진단 방식에 문제를 제기하며 서울교육청에서 두 차례 점거 농성을 벌인 바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권오진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191221002325409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