日 후쿠시마 원전에 오염수 약 110만 톤 보관 <br />"해양 방출, 기준치 이하로 희석해 바다에 방류" <br />"수증기 방출, 고온에서 증발시켜 상공으로 방출" <br />해양 방출로 사실상 결론 난 듯…韓 대응 주목<br /><br /> <br />2011년 3월 동일본대지진 당시 폭발사고를 일으켰던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에서 발생하는 방사능 오염수 처분 방법과 관련해 일본이 바다에 버리는 쪽으로 사실상 결론을 내렸습니다. <br /> <br />김원배 기자가 보도합니다,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 2011년 폭발사고가 난 일본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 부지에는 약 110만 톤의 오염수가 저장돼 있고 하루 평균 약 170톤씩 증가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 오염수 처리 방안을 찾기 위해 2016년 11월부터 활동한 오염수처리대책위원회 전문가 소위원회가 오염수 처분 방안으로 3가지 안을 제시했다고 일본 경제산업성이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첫째 안은 물로 희석해 바다로 내보내는 해양방출이고 둘째 안은 증발시켜 대기로 내보내는 수증기 방출이며 세 번째 안은 이 두 가지를 병행하는 것입니다. <br /> <br />전문가 소위원회는 해양방출은 일본 국내 원자력발전소에서 폭넓게 이루어지고 있다며 국가가 정한 기준치 이하로 희석해 바다에 흘리는 방법이라고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수증기 방출은 고온에서 증발시켜 배기통을 이용해 상공으로 방출하기 때문에 대기 중 방사능 오염도는 국가가 정한 기준치를 밑돌게 된다고 지적했습니다. <br /> <br />전문가 소위원회는 방출 시기와 기간에 대해서는 "일본 정부가 책임지고 결정해야 한다"고만 언급했습니다. <br /> <br />소위원회가 제시한 초안 보고서에 따르면 방출 시작 시기와 연간 처리량에 따라 처분 기간이 달라질 수 있는데 현재 보관량 등을 기준으로 따질 경우 최소한 10년 정도는 걸릴 것으로 추산됐습니다. <br /> <br />전문가 소위원회가 발표한 오염수 처리 방안을 보면 시기가 문제일 뿐 해양 방출이 단행되는 쪽으로 사실상 결론이 난 것으로 보여 해양방출을 반대해온 우리 정부의 대응이 주목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김원배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191224134404960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