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한일 정상회담 <br><br>한일 정상이 오늘 공식회담을 가졌습니다. <br> <br>올해 들어 처음이자, 15개월 만의 회담입니다. <br> <br>양국 정상은 관계를 개선하고 싶다고 했지만, 분위기는 어색했고, 입장차도 여전했습니다. <br> <br>문 대통령은 일본의 수출 규제조치를, 아베 총리는 강제 징용 배상 문제를 해결해달라고 서로 요구했습니다. <br> <br>첫소식, 중국 청두에서 김윤정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회담장에 먼저 도착한 아베 총리의 표정은 다소 굳어 있었습니다. <br> <br>뒤이어 문재인 대통령이 도착하자 한일 양국 정상은 옅은 미소를 띤 채 악수를 나눴습니다. <br> <br>회담 시작 전 양국 정상은 관계 개선에 대한 의지를 드러냈습니다. <br> <br>[아베 신조 / 일본 총리] <br>"저로서도 중요한 일한 관계를 개선하고 싶다고 생각하고 있고, 오늘은 아주 솔직한 의견 교환을 할 수 있으면 합니다." <br> <br>[한일 정상회담] <br>"양국간 현안을 해결하려면 직접 만나서 솔직한 대화를 나누는 것이 가장 큰 힘이라고 생각합니다." <br> <br>하지만 본격적인 회담에 들어가자 한일 핵심현안에 대한 양국의 입장차는 여전했습니다. <br> <br>회담은 예정시간을 15분 넘겨 45분간 진행됐지만, 대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자는 원칙만 확인했을 뿐, 가시적인 성과를 내지는 못했습니다. <br> <br>문 대통령은 일본의 수출 규제조치를 7월 1일 이전 수준으로 조속히 회복해달라고 요청했지만, 아베 총리는 수출당국간 대화를 통해 문제를 풀어나가자며 즉답을 피했습니다. <br> <br>강제징용 배상 문제에 대해서도 논의가 있었지만, 청와대는 "양 정상은 서로 입장차를 확인했다"고 했습니다.<br> <br>다만 최근 한반도 정세에 대한 한일, 한미일 공조 필요성과 도쿄올림픽을 통한 교류 확대에 대해선 뜻을 같이 했습니다. <br> <br>아베 총리는 납북자 문제 해결에 대한 우리 측의 지지를 호소했고, 문 대통령은 일본의 노력을 지지하겠다고 답했습니다. <br> <br>[김윤정 기자] <br>문재인 대통령은 1박 2일간의 일정을 마치고 오늘 밤 귀국합니다. <br> <br>북한이 도발 수위를 높여가고 있는 가운데 북한을 대화 테이블로 복귀시키기 위한 문 대통령의 고심은 깊어질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중국 청두에서 채널A뉴스 김윤정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: 김준구 이기상 <br>영상편집: 박형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