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2년 전 이 때쯤, 발생했던 충북 제천 사우나 화재 사건 기억나십니까? <br> <br>대피하지 못한 29명이 숨진 큰 참사였는데요. <br> <br>연말을 맞아 서울의 찜질방과 목욕탕을 불시 단속했는데, 나아진 게 없었습니다. <br> <br>박정서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비상구 유도등이 달린 문을 열고 들어가자 미로같은 길이 이어집니다. <br> <br>겨우 비상구에 도착했더니 자물쇠까지 채워진 철조망이 가로막고 있습니다. <br> <br>[소방대원] <br>"지금 비상구 폐쇄해 놓은 거죠? 자물쇠가 잠겨져있어서 피난시에 장애가 되니까… " <br><br>[목욕탕 관계자] <br>"열어 드릴까요?" <br><br>서울의 다른 찜질방. <br> <br>비상구에 남자 출입금지라는 팻말이 붙어 있습니다. <br> <br>여탕 바로 앞에 비상구가 있다는 이유입니다. <br> <br>단속하는 대원조차 비상구 위치에 의문을 제기합니다. <br> <br>[소방대원] <br>"남자들이 출입을 할 수가 없는데. 여탕 쪽에서 통하는 길이 어떻게 통해있냐면… 지금 덧문이 설치돼있는 상태거든요." <br> <br>서울시 소방재난본부가 찜질방과 목욕탕 46곳을 단속해 보니, 절반 가까운 22곳에서 위법사항이 적발됐습니다. <br> <br>비상구 앞에 수건이나 찜질복을 쌓아둔 곳이 가장 많았고, 비상구에 이중덧문을 설치한 곳도 적지 않았습니다. <br> <br>2년 전 충북 제천의 스포츠센터 화재 당시 모두 29명이 숨졌고, 이 가운데 20명이 여탕 비상구가 선반으로 막힌 바람에 목숨을 잃었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이후로도 일부 업소의 안전 불감증은 여전한 모습입니다. <br> <br>[이찬희 / 서울시 소방재난본부 예방과 소방장] <br>"비상구를 통해서 사람들이 움직이다보면 가로막힌 장애물들 때문에 패닉 현상이 올 수가 있습니다." <br><br>소방본부는 적발업소에 시정하라는 명령을 내리고 과태료를 부과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박정서입니다. <br> <br>emotion@donga.com <br>영상취재: 이철 <br>영상편집: 장세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