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국회 꼼수의 악순환 언제까지 계속될까요. <br> <br>선거법 개정안 통과를 앞두고 비례한국당 창당을 공식화한 자유한국당, <br> <br>오늘은 민주당을 포함한 4+1 협의체가 '비례한국당 금지법'을 또 만들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. <br> <br>민주당은 부인했습니다. <br> <br>이민찬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자유한국당은 4+1 협의체가 이른바 '비례한국당 금지법'을 만들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. <br> <br>[김재원 / 자유한국당 정책위의장] <br>"비례대표를 공천하지 않는 정당은 지역구에서 국회의원 후보자를 공천할 수 없다는 규정을 신설해서 수정동의안을 제출하려고 한다." <br> <br>비례대표 후보를 내지 않으면 지역구 후보도 낼 수 없게 하고, 유사 당명 사용도 금지하는 조항을 선거법에 넣으려 한다는 겁니다. <br><br>하지만 민주당 관계자는 "수정안은 고려하고 있지 않다"고 했고, 4+1 협의체 측은 "한국당이 여론전을 펴고 있다"고 비판했습니다. <br> <br>평화당 등은 위성정당 방지 규정을 넣는 방안을 검토한 적은 있지만 위법성이 있어 반영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> <br>논란 속에서 한국당은 '비례한국당' 창당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. <br><br>비례한국당 당명을 선점한 단체가 "한국당 2중대가 될 수 없다"며 당명 내주기를 거부해 새 당명을 고르고 있습니다.<br><br>미래한국당, 새한국당, 한국비례당 등이 검토되고 있습니다.<br> <br>한국당은 소속 의원들의 당적 변경도 검토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위성정당 기호에서 앞번호를 받기 위해서인데, 현역 의원 수가 많은 정당부터 앞번호가 부여되기 때문입니다. <br> <br>총선 이후 통합을 위해 황교안 대표가 위성정당의 대표를 맡거나 불출마를 선언한 중진급 인사가 일시적으로 당적을 옮기는 방안도 검토되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이민찬입니다. <br> <br>leemin@donga.com <br>영상취재 : 박희현 <br>영상편집 : 박형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