지구환경 오염 주범 폐플라스틱 재활용률 저조 <br />폐플라스틱, 의약품 원료 등 재탄생 기술 개발 <br />미생물로 갈산·바닐락산 등 의약품 원료 전환<br /><br /> <br />전 세계가 플라스틱 쓰레기로 몸살을 앓고 있는 가운데 플라스틱 대명사인 페트(PET)병을 의약품과 플라스틱 원료로 재활용하는 기술이 개발됐습니다. <br /> <br />화학과 바이오 융합 기술로 이뤄낸 쾌거로, 지구환경 개선과 신소재 개발에 활력을 불어넣을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이정우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구환경을 오염시키는 폐플라스틱. <br /> <br />하지만 페트병 같은 폐플라스틱 재활용률은 한자릿수로 아주 미미한 상황입니다. <br /> <br />이처럼 버려지는 폐플라스틱을 의약품 원료 등으로 재탄생시키는 기술이 등장했습니다. <br /> <br />먼저 전자파 반응기에서 페트병 주성분인 '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'를 물과 화학 반응시켜 '테레프탈산'과 '에틸렌글리콜'로 분해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런 다음 특정 미생물을 투입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랬더니 항산화제로 쓰이는 갈산, 혹은 방향제 원료인 바닐락산으로 전환됐다는 설명입니다. <br /> <br />[김희택 / 한국화학연구원 바이오화학연구센터 : 친환경 화학적인 방법으로 해당 물질을 분해하고 여기서 나온 분해 산물을 미생물을 통해서 고부가 유용 산물로 만드는 연구를 진행하였습니다.] <br /> <br />화학 분해에 생물학적 전환 방법을 더해 페트병을 유용한 소재로 바꾸는 데 성공한 겁니다. <br /> <br />환경친화적인 이 기술은 의약품 원료 이외에 다른 소재 개발에도 폭넓게 응용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[송봉근 / 한국화학연구원 미래융합화학연구본부 : 기존의 화학기술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그 기술을 바이오 기술을 융합함으로써 새로운 응용 분야를 더 넓힐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다고 봅니다.] <br /> <br />고려대, 이화여대와 공동 연구로 진행한 이번 성과는 미국화학회에서 발간하는 국제 학술지 '지속 가능한 화학과 공학' 12월호에 실렸습니다. <br /> <br />YTN 이정우[leejwoo@ytn.co.kr]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YTN은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. <br />[카카오톡] YTN을 검색해 채널 추가 [전화] 02-398-8585 [메일] social@ytn.co.kr [온라인 제보] www.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191227013245653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