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흰 가운에 왕진가방을 든 의사, 옛날 영화에서나 볼 수 있는 모습이죠. <br> <br>오늘부터 왕진가방을 든 의사들이 다시 동네 곳곳을 누빕니다. <br> <br>이지운 기자가 동행했습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서울 노원구에서 20년째 동네 의원을 운영하고 있는 장현재 원장. <br> <br>분주한 손길로 청진기며 혈압계 같은 진료 기구들을 챙겨 가방에 담습니다. <br> <br>오늘 방문하는 집은 최근 폐렴에 걸렸다 회복 중인 최애환 할머니 댁. <br><br>고관절이 부러져 거동도 할 수 없습니다. <br> <br>엘리베이터조차 없는 연립주택 4층이어서, 최 할머니는 왕진이 아니면 진료받기가 어렵습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"(이렇게 굽히면 괜찮으세요?) 똑바로 하면 괜찮은데 옆으로 하면 아파요." <br> <br>[최애환 / 서울 노원구] <br>"(병원은) 못 가죠. 가려면 119나 불러서 가야죠." <br> <br>다행히 최 할머니의 폐렴 증세는 많이 호전됐습니다. <br> <br>정밀한 진단을 위해 혈액 샘플을 뽑고 기력 회복을 위해 수액 주사를 놓습니다. <br> <br>과거엔 쉽게 찾아볼 수 있던 왕진 의사가 사라진 건 제도 상의 미비점 때문입니다. <br> <br>건강보험에 왕진 진료 항목이 없어 의사가 왕진을 하더라도 그에 따른 적정한 진료비를 받을 수 없었던 겁니다. <br> <br>[장현재 / ○○의원 원장] <br>"왕진을 가려면 시간이 소요되고, (병원에) 환자가 있는데도 왕진을 나가야 되는 상황이지만, 초·재진료(기본 진료비)만 산정하게 돼 있었습니다." <br> <br>정부는 오늘부터 동네병원을 대상으로 건강보험에 왕진 진료비를 추가하는 시범사업을 시작했습니다. <br> <br>왕진 진료비는 11만 5000원, 환자는 30%인 3만 4500원을 부담해야 합니다. <br> <br>다만 처음 한 번은 병원을 방문해 진료를 받아야 왕진이 가능하며 본인 부담금이 많다는 게 걸림돌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이지운입니다. <br> <br>easy@donga.com <br>영상취재: 추진엽 <br>영상편집: 구혜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