'기다림의 미학'…밀양, 양갱 재료 한천 생산 한창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젤리나 양갱에 주로 들어가는 재료인 한천 생산이 본격적으로 시작됐는데요.<br /><br />추운 겨울에 얼고 녹고하는 과정을 반복해야만 양질의 한천을 맛볼 수 있다고 합니다.<br /><br />그 생산 현장을 고휘훈 기자가 다녀왔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경남 밀양에서 얼음골사과 생산지로 유명한 산내면 일대입니다.<br /><br />이곳에선 요즘 '한천'을 건조하는 작업이 한창입니다.<br /><br />제주 청정지역에서 수확한 우뭇가사리를 녹인 물을 네모반듯하게 잘라 농사가 끝난 농경지 위에 말립니다.<br /><br />이곳 밀양 산내면은 주변이 온통 산으로 둘러싸인 분지 지형이기 때문에 일교차가 상당히 커서 한천을 만들기 최적의 조건을 가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차가운 하늘이라는 이름 그대로, 한천은 11월 말부터 이듬해 2월까지 약 100일 동안만 자연건조할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 "밤에는 얼고 낮에는 녹고 하는 과정을 약 20일 정도 반복해야 양질의 한천이 생산됩니다."<br /><br />마치 강원도 황태를 만드는 과정과 비슷합니다.<br /><br />이곳 밀양 산내면에는 한천 자연건조장이 5만평, 축구장 면적으로 20개 규모로 동양 최대입니다.<br /><br />잘 말려진 한천은 여름에 얼음을 띄워 콩국에 말아 먹는 우무묵의 재료나 양갱, 젤리 등의 주재료로 사용됩니다.<br /><br />특히 식이섬유를 많이 함유하고 있는데, 미역이나 다시마가 가지고 있는 것보다 2배 이상 많습니다.<br /><br />한천은 1940년대 해외로 수출됐으며, 그 당시 우리나라 총 수출액의 20%를 차지하기도 했습니다.<br /><br /> "밀양 한천은 국내 유일의 자연 한천 공장입니다. 해방 직후 제1호 수출 품목이라는 기록을 갖고 있습니다. 그래서 우리 한천인은 대한민국 경제발전의 초석을 다졌다고 크게 자부심을 갖고 있습니다."<br /><br />밀양 한천은 1년에 500t 정도 생산되며, 이 중 80%가 한천의 본고장인 일본으로 수출됩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고휘훈입니다. (take5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