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뉴스A 시작합니다. <br> <br>북한이 몇번이나 으름장 놨던 크리스마스 선물, 도발은 결국 없었습니다만, 아직 안심하긴 이릅니다. <br> <br>북한이 주요 정책 방향을 정하는 노동당 전원회의를 역대급 규모로 1박 2일. 잇달아 열고 있는데요. <br> <br>매우 이례적인 상황입니다. <br> <br>어떤 내용을 결정했는지에 대해선 입을 닫고 있습니다. <br> <br>이렇게 함구함으로써 새해 첫날 전 세계의 눈과 귀를 김정은의 입에 집중시키려는 전략이다, 이런 분석도 나오는데요. <br> <br>김정은 위원장이 결국 대화판을 깨뜨릴 수 있을까요. <br> <br>첫 소식 유승진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주석단에 올라 열변을 토하는 김정은 국무 위원장. <br> <br>후반부부터는 뿔테 안경까지 쓰고 회의를 직접 챙깁니다. <br> <br>김 위원장이 예고한 대로 노동당 중앙위원회 전원회의를 소집한 겁니다. <br> <br>[조선중앙TV] <br>"새로운 승리를 마련하기 위한 중요한 정책적 문제들이 의정으로 상정됐습니다." <br><br>북한은 그간 전원회의를 통해 국가 정책 방향을 결정해 왔습니다. <br> <br>2013년 '핵·경제 병진노선'을 천명한 것도 지난해 핵을 빼고 '경제건설 집중'을 결정한 것도 전원회의를 통해서입니다.<br> <br>올해는 하노이 회담 결렬 직후인 지난 4월에 이어 두 번째 전원회의입니다. <br> <br>김 위원장이 못 박은 연말 시한이 3일 앞으로 다가오고 미국의 태도 변화도 없자 최종 입장 정리에 들어간 것으로 보입니다. <br><br>북한이 전원 회의 결과를 공개하지 않았지만 국방력 강화 노선 등은 암시했습니다. <br> <br>[조선중앙TV] <br>"중중첩첩 겹쌓이는 가혹한 시련과 난관을 박차며 혁명발전을 더욱 가속시키고 당 건설과 당 활동, 국가건설과 국방건설에서 나서는 중대한 문제들을 토의하기 위하여…" <br> <br>전원회의는 오늘까지 이틀째 열리고 있는데 북한이 결정한 '새로운 길'은 1월 1일 김 위원장 신년사에서 구체적으로 드러날 전망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유승진입니다. <br> <br>영상편집 : 강 민