주로 난개발로 숲이 손실되는 남한과 달리 북한은 계단밭 등 농지 조성으로 인한 산림 훼손이 심각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 /> <br />YTN이 인공위성 데이터를 활용해 백두산 부근에서 금강산 지역에 이르는 북한 산림 훼손 실태를 살펴보았습니다 <br /> <br />데이터저널리즘팀 함형건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임진강 너머로 바라본 북한 산림의 모습입니다 <br /> <br />잡초가 듬성 듬성 자라 민둥산에 가깝습니다. <br /> <br />강원도 남대천 주변도 숲이 빈약하다보니 산사태로 곳곳에 상처가 난 모습을 목격할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북한 전체 산림 훼손 실태는 어느 정도일까? <br /> <br />YTN 데이터저널리즘팀이 지난 18년 동안 북한의 산림 손실을 추적했습니다. <br /> <br />미국 메릴랜드 대학이 미항공우주국 인공위성 관측 자료를 기반으로 추출한 데이터를 활용했습니다. <br /> <br />숲이 사라진 붉은 색 영역이 연도가 지날수록 누적되어 나타납니다. <br /> <br />2천년대들어 내륙 뿐 아니라 북부 접경지대인 자강도와 양강도의 손실이 두드러지다가 김정은 국무 위원장 집권 이후 부터는 함경남북도에서 숲이 가장 많이 사라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2005년에서 2012년 사이의 산림 훼손이 컸다가 2014년에서 2016년까지도 꾸준한 손실이 이어졌습니다. <br /> <br />북한의 혁명 성지로 불리는 백두산과 삼지연군도 예외는 아닙니다. <br /> <br />최근 들어 삼지연 공항 부근의 산림 손실이 가장 컸고, 백두산의 일부인 정일봉 인근 그리고, 리명수역 부근도 숲이 줄어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금강산이 위치한 고성, 금강, 통천군 등 3개 행정구역은 어땠는지도 조사했습니다. <br /> <br />고성군 부근의 산림 손실이 가장 두드러졌고, 금강군 주어봉 인근 등의 숲도 훼손된 것으로 추정됩니다. <br /> <br />유럽우주국이 위성으로 관측한 데이터로도 지난 24년간의 숲면적 추이를 따져봤습니다. <br /> <br />백두산 삼지연은 숲의 면적이 완만하게 줄어든 반면 농지는 조금씩 늘어난 추세입니다. <br /> <br />특히 1990년대 후반부에 숲이 줄어든 게 관측되는데, 극심한 식량난으로 아사자가 속출했던 '고난의 행군'의 기간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금강산 부근 지역도 숲은 감소하고, 농지는 증가하는 추세. <br /> <br />금강산 관광 사업이 시작된 1998년 이후 부근 지역의 산림도 줄어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[오충현 / 동국대 바이오환경과학과 교수 : (북한은) 주로 도시 주변이나 농촌 주변 (산림) 같은 경우는 농경지를 위해서 계단 논이나 계단밭 같은 것을 최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191230051629589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