다양화하는 디지털 성범죄…피해 지원 두배로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지하철 몰카와 단톡방 동영상 유포 등 '디지털 성범죄'가 다양화하고 있는데요.<br /><br />정부는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를 위한 지원을 확대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신새롬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서울시의 설문조사 결과, 여성 43%가 '디지털 성범죄 피해를 직접 경험하거나 목격'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.<br /><br />성적행위가 찍힌 영상이나 사진을 유포하거나, 영상물로 협박을 당한 피해가 20%에 육박했습니다.<br /><br />디지털 성범죄가 기승을 부리자, 정부도 피해자들을 위해 적극적인 지원에 나섰습니다.<br /><br />여성가족부가 지난해부터 운영한 '디지털 성범죄 피해자 지원센터'에서 이뤄진 영상물 삭제지원이 1년전보다 두 배 늘어났습니다.<br /><br />인력이 늘었을 뿐 아니라, 플랫폼별로 삭제 지원 노하우와 전문성이 쌓였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 "어떻게 하면 한번에 많은 건수를 삭제할 수 있을지 연구하고 분석해서 그 부분들에 새로운 방식을 여러개 발견했고요. 경찰청과의 핫라인을 개설을 해서… 문제적이고 주요 요주의 사이트도 같이 경찰청과 협력해서 폐쇄를 하고…"<br /><br />이처럼 범정부 차원에서 24시간 디지털 성범죄에 대응하는 공동 대응 체계가 마련됐지만, 여전히 역부족이라는 지적도 나옵니다.<br /><br />디지털 성범죄 피해자의 60% 이상이 '처벌의 불확실성'을 이유로 대응을 하지 않고 있다고 답했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한편, 대법원은 불법 촬영을 포함한 디지털 성범죄의 객관적 양형 기준을 마련하기 위한 의견수렴에 나섰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신새롬입니다. (romi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