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북한 김정은 위원장은 나흘째 전원회의를 주재하며 새해를 맞이할 듯 합니다. <br> <br>북한의 내년 대외정책이 여기서 결정되는데, 미사일 도발을 다시 감행할 것이란 관측이 나옵니다. <br> <br>우리 군의 경계태세도 한층 강화되면서 합참의장이 상공에서 현장을 점검하는 '지휘비행'이 2년 만에 <br>부활했습니다. <br> <br>유주은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동트기 전 한반도 상공을 전투기 F-16 엄호 속에 항공통제기 '피스아이’가 초계 비행을 합니다. <br> <br>고성능 레이더를 갖춘 피스아이는 적 항공기를 포착하고 아군의 전투기를 지휘·통제하는 '하늘의 지휘소'로 불립니다. <br> <br>북한 미사일 추적 임무도 맡고 있습니다. <br> <br>박한기 합참의장은 피스아이에 탑승해 100분간 작전 지휘 비행을 했습니다. <br> <br>ICBM 발사 등 북한의 도발 가능성이 커지자 육해공군 대비태세를 점검한 겁니다. <br> <br>[박한기 / 합동참모본부 의장] <br>"적 특이동향은 없는가?” <br> <br>[박승일 / 해병대 연평부대장(대령)] <br>"현재 적 특이동향은 없습니다. 반드시 서북도서를 사수하겠습니다." <br> <br>[류윤상 / 이지스 구축함장(대령)] <br>"빈틈없는 경계 작전으로 우리 바다를 철통같이 수호하겠습니다." <br> <br>합참의장의 연말 지휘 비행은 지난 2017년 12월 정경두 당시 합참의장 이후 2년 만입니다. <br> <br>지난해는 남북 화해 분위기에 예하 부대 방문으로 대신했지만 최근 한반도 긴장이 고조되면서 지휘 비행이 부활한 겁니다. <br> <br>미국 정찰기가 이틀 연속 한반도 상공을 비행하는 등 미국의 경계 강화도 계속되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유주은입니다. <br>grace@donga.com <br> <br>영상편집 : 강민