가격 하락 멈춘 반도체…"5G 확산이 회복 주도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반도체는 우리나라 수출의 약 5분의 1을 차지합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지난해는 세계적 수요 감소와 가격 하락이 겹쳐 금액 기준으론 25% 넘게 줄어 수출 감소의 주원인이 됐는데요.<br /><br />다행히 새해에는 곳곳에서 반등의 기회가 감지됩니다.<br /><br />김지수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삼성전자의 5G 스마트폰 모델입니다.<br /><br />LTE보다 속도가 20배 가량 빠르고 초고해상도 콘텐츠도 제공하기에 5G 스마트폰에 필요한 D램 반도체 용량은 LTE 스마트폰의 두배 가까이 됩니다.<br /><br />그런데 지난해 20여개국에 그쳤던 5G 서비스 제공 국가가 올해는 러시아, 독일, 일본을 포함해 50개국으로 확대됩니다.<br /><br />5G 스마트폰 출하량도 지난해 약 1,000만대에서 올해 1억9,000만대로 급증할 전망입니다.<br /><br />반도체 시장 회복 기대를 낳는 핵심 요인입니다.<br /><br /> "5G 상용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고, 통신시스템이 전반적으로 바뀌면서 대용량 메모리 반도체가 필요하기 때문에 올해 반도체 경기를 견인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."<br /><br />구글, 마이크로소프트 등 거대 글로벌 정보기술기업들이 올해 대대적 데이터센터 확충에 나설 계획이란 점도 또 다른 기대 요인입니다.<br /><br />데이터센터와 서버를 확충할수록 메모리 반도체 수요도 급증하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이 같은 상황을 반영해 지난해 12% 넘게 줄어든 글로벌 반도체 시장이 올해 6% 가까이 성장할 것이란 전망이 나옵니다.<br /><br />이미, 현물시장에서는 D램 8GB 메모리 반도체 값이 지난달 3달러 선을 회복했습니다.<br /><br />앞서 1년간 고점 대비 반토막이 났던 제품입니다.<br /><br />반도체 시장이 전망대로 회복국면에 접어든다면 올해 수출과 전체 경기의 회복에 핵심 지렛대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김지수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