文 신년사, ’金 답방, 접경지역 협력’ 등 제안 <br />北 묵묵부답…선전매체 ’한반도 평화구상론’ 비난 <br />중동정세 예의주시하며 대남메시지 유보할 듯 <br />北, 공식 비난은 자제…南 제안에 호응 여부 주목<br /><br /> <br />새해 들어 우리 정부가 남북관계 개선을 위한 메시지를 다각도로 제시하고 있지만 북측은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북미협상이 동력을 잃은 상황에서 우리 정부의 제안을 두고 북한이 어떤 셈법을 구사할지 주목됩니다. <br /> <br />황혜경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문재인 대통령이 신년사에서 북측에 제안한 건 크게 세 가지. <br /> <br />올해 우리나라에서 개최되는 스포츠 대회의 북한 참가와 비무장지대, 접경지역에서의 협력, 그리고 김정은 위원장의 서울 답방입니다. <br /> <br />하나라도 성사된다면 남북관계 개선뿐 아니라 북미대화의 모멘텀도 살릴 수 있을 거라고 기대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문재인 대통령 : 올해는 ‘6·15 남북공동선언' 20주년을 맞는 뜻깊은 해입니다. 평화통일의 의지를 다지는 공동행사를 비롯하여 김정은 위원장의 답방을 위한 여건이 하루빨리 갖춰질 수 있도록….] <br /> <br />하지만 김 위원장의 답방 등에 그간 묵묵부답이나 부정적인 태도를 보여왔던 북한이 선뜻 나설지는 의문입니다. <br /> <br />불과 두 달 전에도 북한은 문재인 대통령의 '한 아세안 특별정상회의' 초청을 거부하고, 선전매체들을 통해 '한반도 평화구상론'을 공격해왔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게다가 새해 들어 미국과 중동 정세가 급격하게 돌아가면서 북한이 사태를 예의주시하며 대남 메시지는 미뤄둘 가능성이 커졌습니다. <br /> <br />다만 정부가 올해 보다 적극적이고 현실적인 남북관계 개선방안을 찾겠다고 천명했고, 북한도 우리 정부에 대한 공식 비난은 자제하고 있다는 점은 긍정적인 요소입니다. <br /> <br />[이상민 / 통일부 대변인 : 북한의 전원회의 결과 보도 그 이외에 북한의 어떤 상황들을 지금 계속 예의주시하면서, 남북관계 관련해서 추가적인 언급이 있을지 없을지 여부를 계속 보고 있습니다. 좀 더 추이를 살펴보면서 거기에 따른 적절한 대응방안을 모색해 나가야 될 것 같습니다.] <br /> <br />공개 행보나 우려됐던 도발 없이 조용히 보내고 있는 김정은 위원장. <br /> <br />지난해 말 정면돌파 노선을 제시한 노동당 전원회의 보고에서 빠졌던 대남 정책과 관련해 김 위원장이 어떤 전략과 입장을 내놓을지 주목됩니다. <br /> <br />YTN 황혜경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00109072347301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