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이 뿐만이 아닙니다. <br> <br>윤석열 검찰총장의 수사지휘권도 대폭 제한됩니다. <br> <br>법무부가 검찰의 직접 수사 부서를 거의 반으로 줄이는 직제 개편안을 마련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. <br> <br>윤 총장의 힘을 빼기 위해 추미애 장관이 준비 중인 여러 계획들, 최주현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법무부가 마련한 검찰 직제 개편안의 초점은 직접 수사 축소에 맞춰졌습니다. <br> <br>우선 조국 전 법무부 장관 일가 비리를 파헤쳤던 서울중앙지검 반부패수사부와 울산시 선거개입 의혹 사건을 수사 중인 공공수사부를 각각 4개, 3개에서 2개로 축소하겠다는 겁니다. <br><br>강력부·외사부 등 인지 수사가 가능한 검찰 내 부서들도 모두 폐지해 형사부로 전환할 계획입니다. <br> <br>문재인 정부 들어 신설된 조세범죄조사부와 과학기술범죄수사부도 폐지 대상입니다. <br> <br>서울남부지검의 증권범죄합동수사단 역시 문을 닫게 됐습니다. <br><br>[윤석열 / 검찰총장 (지난 2일)] <br>"올해도 검찰 안팎의 여건은 결코 쉽지 않을 것입니다. 여러분의 정당한 소신을 끝까지 지켜드리겠습니다." <br> <br>세월호 특별수사단, 김학의 특별수사단처럼 검찰총장이 주요 사건 이슈에 따라 탄력적으로 조직해 운영하던 별도 수사단 구성에도 제약이 걸렸습니다. <br> <br>추미애 법무부장관은 오늘 "검찰이 직제에 없는 수사조직을 설치할 경우 사전 승인을 받으라"고 대검찰청에 특별지시를 내린 데 따른 겁니다. <br><br>그제 인사를 통해 이른바 윤석열 사단이라고 불린 고위 간부들을 1차로 수사 일선에서 배제한데 이어 예고됐던 수사팀 교체 수순에 앞서 검찰이 갖고 있던 직접 수사권을 아예 빼앗는 조치에 나선 것이란 <br>분석도 나옵니다. <br><br>법조계 안팎에서는 권력형 비리에 맞서온 검찰 힘빼기가 자칫 사회 자정력 축소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최주현 입니다. <br> <br>choigo@donga.com <br> <br>영상편집 : 손진석