美 "새 핵합의" VS 국제사회 "기존 핵합의 이행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이란의 미사일 공격을 사상자 한 명 없이 막아낸 트럼프 대통령은 더 강력한 족쇄를 씌워 이란의 핵개발을 막아야 한다고 제안했는데요.<br /><br />국제사회는 기존 이란 핵합의를 준수하는 게 중요하다며 어깃장을 놨습니다.<br /><br />국제사회가 이견을 드러내면서 고삐 풀린 이란의 핵개발 야욕은 임계점을 향해 치닫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황정현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이란의 핵불용을 거듭 강조해왔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.<br /><br />지난 2015년 이란과 핵합의에 서명했던 국가들에 탈퇴를 촉구하고 핵을 비롯해 이란의 위협을 더 강력히 원천봉쇄할 수 있는 새 합의를 체결하자고 제안했습니다.<br /><br /> "영국, 독일, 프랑스, 러시아, 중국이 현실을 인식할 때가 왔습니다. 이제 '이란 거래'나 이란과의 핵합의 잔재에서 벗어나야 합니다."<br /><br />하지만 관련 당사국들이 기존 핵합의 고수에 방점을 찍으면서 트럼프 대통령의 구상은 난관에 부딪혔습니다.<br /><br />겅솽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미국이 국제법과 국제의무를 무시하면서 탈퇴를 강요하고 있다고 비판했습니다.<br /><br /> "국제사회는 이란핵합의(JCPOA)를 확고히 지지하고 이란 핵문제와 중동상황 개선을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."<br /><br />프랑스와 유럽연합 등도 "이란핵합의가 국제안보에 여전히 중요하다"는 입장입니다.<br /><br />핑곗거리만 생기면 어떻게든 합의를 깨려는 이란의 핵야욕을 묶어두려면 기존 이란핵합의를 유지하는 게 더 효과적이라는 게 이들의 일치된 생각입니다.<br /><br />실제로 이란은 미국이 군부 실세 솔레이마니를 제거하자 이에 강력 반발하며 지난 5일 핵합의 탈퇴를 사실상 공식화했습니다.<br /><br />이란이 핵개발에 박차를 가할 경우 핵무기를 만들 때까지 이르면 1년 정도 걸릴 것이라는 관측도 나옵니다.<br /><br />이런 상황에서 미국과 나머지 국제사회가 이란의 핵야욕을 막을 수 있는 방법에 합의하지 못하면 이란의 핵개발 속도는 거침없이 빨라질 거란 우려가 나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 황정현입니다. (sweet@yna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