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남북관계, '김계관 담화'로 새해 벽두부터 난관 / YTN

2020-01-12 1 Dailymotion

’설레발’ ’호들갑’ 등 표현으로 강한 불만 표출 <br />지난해 8월 조평통 담화보다는 표현 수위 완화 <br />북, 지난해 11월 이후 대남 비난 진정 추세<br /><br /> <br />북한 김계관 외무성 고문이 담화를 내고 남한은 북미 관계에 끼어들지 말라고 경고하면서 새해 주요 정책 과제로 남북 관계 개선을 제시한 정부는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그렇지만, 지난해 8월 문재인 대통령을 겨냥해 막말을 퍼붓던 상황에 비해서는 수위가 완화된 부분도 있다는 점에서 북한의 대남 전략에 대한 분석이 면밀하게 진행돼야 할 것으로 관측됩니다. <br /> <br />왕선택 통일외교 전문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김계관 북한 외무성 고문 담화에서 남측이 북미 관계에 끼어들지 말 것을 강조한 것은 우리 정부 입장에서 보면 당혹스런 부분입니다. <br /> <br />특히 설레발을 친다거나, 호들갑, 바보 신세, 중뿔나게 끼어든다거나 하는 표현은 남측에 대한 불만 수위가 매우 높다는 점을 보여주는 대목입니다. <br /> <br />그렇지만, 김계관 고문 담화는 지난해 8월 북한이 '삶은 소 대가리' 등의 욕설을 퍼부은 것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표현 수위가 완화됐다는 점에서 면밀한 분석이 필요합니다. <br /> <br />북한은 지난해 10월까지 한미 연합 군사 훈련이나 첨단 군사 장비 도입과 관련해 욕설 수준의 험담을 했지만, 11월 이후 진정 추세를 보였습니다. <br /> <br />이번에도 문재인 대통령을 직접 겨냥하는 표현이 제외된 것은 면밀한 계산의 결과로 분석됩니다. <br /> <br />북미 대화 가능성이 없다고 경고하면서도 북한 요구를 전적으로 수긍하면 대화가 가능하다고 지적한 것은 대화 방법을 알려준 북한식 화법으로 해석할 여지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런 관점에서 보면 김계관 고문 담화는 남북 관계 개선 노력 자체를 경멸한 것이 아니라 우리 정부 행보에서 특정 부분을 공격했을 가능성이 적지 않습니다. <br /> <br />이와 관련해 지난해 4월 이후 북한의 대남 비난 초점은 한국 정부가 존재감을 보여주는 데만 관심을 두고, 실제적인 성과는 내지 못하는 점에 대한 불만 표출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비핵화와 평화 체제 구축에서 우리 정부가 빛나는 중재자로서 존재감을 보여주는데 초점을 맞추기보다는 조용한 촉진자 역할에 집중함으로써 북한 반응이 달라질 가능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분석됩니다. <br /> <br />YTN 왕선택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00112184926703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