재건축 단지에도 풍선효과 …강북 뛰고 강남 하락<br />[뉴스리뷰]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12·16 부동산 대책 이후 서울 강남과 강북 재건축 추진 단지의 상황이 엇갈리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고가 아파트가 몰려 있는 강남은 호가가 떨어지는데, 강북은 크게 오르고 있다고 합니다.<br /><br />나경렬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지난달 전용면적 50㎡가 7억원에 거래된 서울 마포구의 한 재건축 추진 단지.<br /><br />최근 실거래가가 8억원을 넘었습니다.<br /><br />지난 8일 이 아파트는 재건축사업의 첫 단추라 할 수 있는 정밀안전진단을 통과했는데, 재건축 기대수요가 몰리면서 호가도 뛰고 있습니다.<br /><br /> "7억 8,000만원까지 거래가 됐는데 올해 들어와서 8억 5,000만원 거래됐어요. 거의 1억 뛰고. 지금 9억 넘게 나와요."<br /><br />이제 막 정밀안전진단을 통과한 양천구 목동과 은평구 불광동도 비슷한 분위기입니다.<br /><br />12·16 부동산 대책으로 시가 9억원 넘는 아파트의 대출 규제가 강화돼 9억원 이하 아파트로 수요가 몰린 데다 재건축 기대감까지 더해져 호가가 5,000만원 이상 올랐습니다.<br /><br />반면 강남 재건축 단지의 상황은 강북과 대비됩니다.<br /><br />강남구 은마아파트와 송파구 잠실주공5단지의 전용면적 76㎡경우, 12·16 대책 이전 호가가 21억원을 웃돌았지만 지금은 2억원 떨어졌습니다.<br /><br />고가, 초고가 아파트에 대한 대출 규제, 종합부동산세율 인상 추진 등으로 수요자들의 관망세가 짙은 것으로 풀이됩니다.<br /><br />강남 재건축 추진 단지는 사업을 다시 생각해봐야 하는 게 아닌지 고민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 "안전진단 단계에서부터 막혀 있고…재초환(재건축초과이익환수제)이나 분양가 상한제 실시 이렇게 되면서 사업을 진행하는 것이 옳은지…"<br /><br />이 같은 상황을 놓고 각종 규제가 덜한 강북으로 주택 수요가 몰리는 풍선효과가 재건축 추진 단지에서도 나타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나경렬입니다. (intense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