美, 환율조작국서 중국 해제…韓 관찰국 유지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미국 재무부가 중국에 대한 환율조작국 지정을 해제했습니다.<br /><br />지난해 8월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한 지 5개월여 만인데요.<br /><br />미·중 간 이른바 1단계 무역 합의 서명을 앞두고 장애물을 제거하려는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워싱턴 연결해 자세히 들어봅니다.<br /><br />윤석이 특파원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, 워싱턴입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미 행정부가 계속 늦춰왔던 환율보고서를 전격 발표하면서 중국을 환율조작국에서 해제했군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그렇습니다.<br /><br />미 재무부는 이 곳 현지 시간으로 13일 '반기 환율보고서'를 발표하고 중국에 대한 환율조작국 지정을 해제했습니다.<br /><br />지난해 8월 중국에 대한 압박 카드로 '환율조작국'으로 지정한 지 5개월여 만인데요.<br /><br />미 재무부는 "최근 보고서를 근거로 중국에 대해 더는 환율조작국으로서 지정하지 않기로 결론 내렸다"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다만 중국에 대해 환율 관찰대상국 지정은 계속 유지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.<br /><br />당초 트럼프 행정부는 올해 8월까지 환율조작국 지위를 유지하면서 협상카드로 활용하는 방안이 거론됐던 것으로 알려졌는데요.<br /><br />이번 달 미국과 중국의 이른바 '1단계 무역 합의' 서명을 앞두고 전격적으로 장애물을 제거한 것으로 풀이됩니다.<br /><br />앞서 폭스 비즈니스 등 미국 내 언론들은 "오는 15일로 예정된 미·중 간 무역 합의 서명에 앞서 트럼프 대통령이 환율조작국 지정을 해제할 것"이라는 관측을 내놓았습니다.<br /><br />관심을 모았던 우리나라의 경우 환율 관찰대상국에서 제외되지 못했습니다.<br /><br />환율관찰 대상국은 환율조작국보다는 수위가 낮지만 미국의 주시 대상이 된다는 점에서 환율정책 운영에 제한 요인이 된다는 지적입니다.<br /><br />환율관찰 대상국 명단에는 중국과 우리나라를 비롯해 일본, 독일, 말레이시아, 스위스, 베트남 등도 이름을 올렸습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워싱턴에서 연합뉴스TV 윤석이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