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검찰 개혁이 시급한 이유로 고 노무현 전 대통령의 '논두렁 시계' 보도가 언급돼 속상하다. <br> <br>당시 사건 수사를 지휘한 이인규 전 대검 중수부장이 한 말입니다. <br><br>검찰의 서면 조사를 받았는데, 문제의 보도에는 국정원이 개입했다고 주장했습니다. <br> <br>유승진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 이른바 '박연차 게이트'와 관련해 노무현 전 대통령의 수사를 지휘하다 지난 2009년 검찰을 떠난 이인규 전 대검찰청 중앙수사부장. <br> <br>[이인규 / 전 대검 중수부장(2009년 6월)] <br>"애통하게 생각합니다. 검찰은 이번 수사과정에서 법과 원칙에 따라 최선을 다했음을 말씀드립니다." <br> <br> 이 전 부장은 이른바 '논두렁 시계' 보도가 나오게 된 경위에 대한 진술서를 지난해부터 올해 초까지 세 차례에 걸쳐 검찰에 보냈습니다. <br><br> "해당 보도에 국정원이 개입했다고 보는 게 합리적"이라는 내용이었습니다.<br> <br> 이 전 부장의 이같은 주장은 처음이 아닙니다. <br> <br> 지난 2018년 여름에도 기자들에게 이메일을 보내, "당시 원세훈 국정원장이 임채진 검찰총장에게 전화를 걸어, 뇌물수수 의혹을 '언론에 흘리는 게 좋을 것 같다'고 제안했다"고 주장했습니다. <br> <br> 또, 원 전 국정원장과 SBS와의 인연 등으로 볼때, 보도 배후에 국정원이 있다는 심증을 굳히게 됐다는 발언했다가, 해당 방송사로부터 명예훼손으로 고소를 당했습니다. <br> <br> 이 전 부장은 채널A와의 통화에서 본인에 대한 검찰 수사가 진척되지 않아 자발적으로 보도 경위를 설명하는 진술서를 제출했다고 밝혔습니다. <br><br> 그러면서 "검찰이 '논두렁 시계'를 언론에 흘려 의도적인 망신주기를 했다는 여권의 주장이 검찰 개혁 필요성의 근거로 자주 언급되는 것에 대해 당시 수사책임자로서 속상했다"고도 덧붙였습니다. <br> <br> 이 전 부장은 검찰이 대면 조사를 요구한다면 적극 응하겠다고도 밝혔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유승진입니다. <br> <br>promotion@donga.com <br>영상편집 : 손진석