이란, 여객기격추 수습 박차…민심 악화에 '고심'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이란에서 여객기 격추에 항의하는 반정부시위가 연일 이어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란 정부는 수습 절차를 신속히 진행하며 파장을 줄이기 위해 부심하고 있는데요.<br /><br />경제난에다가 지도부 불신이 겹치면서 성난 민심은 쉽게 가라앉지 않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란 정부 위기론까지 고개를 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테헤란에서 강훈상 특파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이란 군의 우크라이나 여객기 격추.<br /><br />의도적이 아닌 실수라고는 하지만 이란 지도부로서는 치명적인 타격을 입었습니다.<br /><br />사건 발생 사흘 만에 이란 군이 모든 잘못을 인정했지만, 이란 현지에서는 증거가 나오지 않았다면 은폐했을 것이라는 불신은 가시지 않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란 정부는 매일 기자회견을 열어 진상을 은폐할 의도가 없었다고 설득하고 있지만 성난 민심을 진정시키기엔 아직 역부족입니다.<br /><br />이란 지도부는 사건의 책임을 묻는 실질적인 절차를 시작했습니다.<br /><br /> "사법부가 고위 법관과 전문가 수십명으로 구성된 특별 재판부를 설치할 것입니다. 여객기 격추는 매우 이례적이고 비상한 일입니다."<br /><br />이란 사법부는 격추에 직접 관련된 용의자 여러 명을 체포했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연일 미국에 대한 적대적인 발언을 쏟아냈던 이란 군부는 자중하는 분위깁니다.<br /><br />이번 격추가 전쟁과 마찬가지로 위험한 긴장 상황을 조성한 미국 탓이라면서도 일단 국내 여론을 잠재우기 위해 재발 방지와 내부 시스템 개선을 강조했습니다.<br /><br />지도부가 역풍을 최소화하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지만 정부와 군부를 규탄하는 시위는 14일에도 이어졌습니다.<br /><br />규모는 크게 확산하지 않는 흐름이지만, 시위대는 최고지도자의 퇴진까지 요구하면서 성난 민심을 대변했습니다.<br /><br />지난해 11월 휘발유 가격 인상으로 전국 곳곳에서 반정부 시위가 벌어졌고 이를 유혈 진압 하면서 상당히 많은 인명피해가 발생해 민심이 악화했습니다.<br /><br />두 달 만에 예기치 않은 여객기 격추로 불신이 커지면서 이란 지도부는 큰 위기를 맞았습니다.<br /><br />테헤란에서 강훈상 특파원입니다. (hskang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