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홍남기 /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] <br />가장 큰 폭의 증가세를 보였습니다. <br /> <br />한편 2019년 연간 취업자 증가는 당초 정부가 목표했던 20만 명을 크게 상회하는 30만 1000명으로 기록하게 되었습니다. <br /> <br />차제에 저희 경제팀은 2019년 고용동향과 금년도 역점적으로 추진하게 될 일자리 고용정책 방향에 대해 국민 여러분께 소상히 말씀드리고자 이 자리에 섰습니다. <br /> <br />먼저 2019년 12월 고용동향에 대해 간략하게 말씀드리겠습니다. <br /> <br />12월 고용은 지난해 8월부터 시작된 취업자 수, 고용률, 실업 등 3대 고용지표의 뚜렷한 개선세가 한층 강화된 모습을 보였습니다. <br /> <br />취업자 수가 전년 동월 대비 51만 6000명 증가하며 64개월 만에 최대 증가폭을 기록한 가운데 고용률은 15세 이상과 15세부터 64세까지 각각 0.7%포인트, 0.6%포인트 상승한 60.8%, 67.1%를 기록하며 모두 해당 통계 발표 이후에 역대 최고 수준을 보였습니다. <br /> <br />40대를 제외한 모든 연령대에서 고용률 상승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30대의 경우 인구 감소 영향으로 감소세를 지속해오던 취업자 수가 2017년 9월 이후 2년 3개월 만에 증가로 전환하였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생산 가능 연령, 즉 15세부터 64세까지에서는 인구가 3만 1000명 감소했음에도 취업자수는 20만 8000명 큰 폭 증가하며 고용 개선을 견인하는 눈에 띄는 성과도 보였습니다. <br /> <br />아울러 실업 상황도 개선 흐름을 이어갔습니다. <br /> <br />노인 일자리 조기 모집으로 고령층에 대한 실업자가 크게 증가했음에도 전체 실업자는 5개월 연속 감소세를 이어갔으며 실업률은 3.4%로 보합 수준을 보였습니다. 고용의 질 개선세도 보다 확대된 모습입니다. <br /> <br />12월 상용직은 64만 1000명 증가하였으며 12월 기준으로 2013년 이래 최고 증가폭을 보였으며 임금 근로자 중 상용직 비중도 70.4%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였습니다. <br /> <br />그 외 고용보험 가입자수와 청년고용 개선 흐름도 지속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. <br /> <br />다음으로는 2019년 연간 고용동향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에는 일자리 중심 국정운영의 성과가 가시화되며 고용이 양적, 질적으로 뚜렷한 개선 흐름을 보인 일자리 반등의 해였습니다. <br /> <br />2017년부터 2019년까지 3년을 비교해 볼 때 우선 취업자의 증가, 고용률, 실업 등 3대 고용지표가 모두 개선되면서 양적인 측면에서 V자형 반등에 성공하였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2018년 취업자 증가는 9만 7000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pn/0301_20200115093239454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