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년 집권 푸틴, 개헌 제안…다시 실세 총리? 막후 실세?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대통령의 힘은 빼고 의회와 총리의 권한을 강화하는 개헌을 제안했습니다.<br /><br />다시 실세총리가 되거나 권력기반을 유지해 막후 실세로 남으려는 포석이라는 분석이 나옵니다.<br /><br />황정현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이 올해 국정연설에서 부분적 개헌을 제안했습니다.<br /><br />의회가 총리를 선출하도록 하는 등 의회의 권한은 대폭 강화하고, 대통령은 한 사람이 세 번 이상 할 수 없도록 제한하자는 내용이 골자입니다.<br /><br />사실상 권력의 중심을 대통령에서 총리로 옮기겠다는 겁니다.<br /><br /> "국가 두마(하원)가 총리를 선출하고, 총리가 부총리와 장관들을 임명할 것을 제안합니다."<br /><br />지난 2000년 대통령에 당선됐던 푸틴은 4년 임기의 대통령직을 한 번 더 연임한 뒤 세번까지는 연임할 수 없다는 조항에 부딪혀 총리로 물러났다가 2012년 대선을 통해 대통령직에 복귀했습니다.<br /><br />6년으로 늘어난 대통령 임기를 마친 뒤 2018년 3월 또다시 당선돼 2024년까지 대통령직을 수행할 예정입니다.<br /><br />이런 상황에서 푸틴 대통령이 의회와 총리의 권한을 강화하겠다고 나선 건 권력을 계속 유지하기 위한 준비작업이란 게 전문가들의 분석입니다.<br /><br /> "목표는 의심할 여지가 없습니다. 푸틴의 목표는 시스템을 안정화하고 그가 20년 동안 다져온 권력을 유지하는 것입니다."<br /><br />3선 연임을 시도했다 거센 반발에 부딪혔던 과거 경험을 반면 교사 삼아, 연임 대신 총리직을 택한 게 아니냔 겁니다.<br /><br />아울러 푸틴은 대통령 자문기구인 국가위원회 권한도 강화하겠다고 밝혀 중국의 덩샤오핑이나 싱가포르 리콴유처럼 총리가 아닌 막후 실세로 남는 상황도 대비했다는 분석입니다.<br /><br />푸틴 연설 직후 메드베데프 총리 내각은 총사퇴했고, 푸틴은 곧바로 미하일 미슈스틴 국세청장을 후임 총리로 지명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 황정현입니다. (sweet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