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예견됐던 일이기도 했습니다. <br> <br>선거법이 개정되면서 고 3교실에 정치 바람이 불고 있습니다. <br> <br>교복을 입고 원내 주요 정당에 가입한 학생이 150명을 넘어섰고 아예 창당에 직접 나서기도 합니다. <br> <br>김철웅 기자가 학생들의 목소리를 들어봤습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오는 4.15 총선에서 선거권을 갖게 된 만 18세 유권자는 53만 명. <br> <br>이 가운데 고등학교 3학년이 14만 명 정도로 추산됩니다. <br> <br>선거권을 처음 갖게 된 유권자들은 투표를 넘어 현실 정치에도 적극 뛰어들고 있습니다. <br> <br>만 18세도 정당가입이 가능해지면서 올해 고등학교 졸업 예정자와 고3이 되는 학생들도 줄지어 당원이 되고 있습니다. <br><br>2주 만에 민주당과 정의당은 50명이 넘었고 한국당도 40명 정도라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창당 작업에 직접 참여한 교복 입은 유권자도 있습니다. <br> <br>청년 정책을 앞세운 이 예비 정당 발기인에는 현재 고3인 학생 두 명이 이름을 올렸습니다. <br> <br>[김재섭 / '같이오름' 창당준비위원장] <br>"고등학생들이 생각하기에 정치권 일은 교장선생님 정도 되는 분들의 리그였는데, 젊은 형이나 누나 같은 사람들이 정치를 한다고 하니까 기쁜 마음으로 동참하게 됐다고 합니다." <br> <br>하지만 선거 교육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상황에서 교복 입은 유권자들의 혼란도 예상됩니다. <br> <br>[신호준 / 예비 고3] <br>"고등학생으로 공부나 바쁘게 살다 보니까 관심을 가질 기회가 많이 없어서 어떤 걸 보고 뽑아야 하는지….” <br> <br>[공영훈 / 예비 고3] <br>"저는 솔직히 아직 자신 있게 못할 것 같아요. 판단이 잘 안 서는 것 같아요." <br> <br>또 현실 정치 갈등이 교실로 옮겨 붙을 수 있다는 교실 정치화도 풀어야 할 숙제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철웅입니다. <br><br>woong@donga.com <br>영상취재 : 이승헌 <br>영상편집 : 장세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