정부, 호르무즈 해협 ’독자 활동’ 방안에 무게 <br />중동 교민 안전·원유 수급 안정성 확보 필요성 <br />미국의 파병 요구 더는 무시하기 힘든 상황<br /><br /> <br />미국이 요구해온 '호르무즈 해협' 파병과 관련해, 정부는 우리 부대가 독자적으로 활동하는 방안에 무게를 두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한미동맹을 고려한 조치이면서, 향후 방위비 협상과 남북협력 추진을 위한 동력으로 삼을 거란 전망도 나옵니다. <br /> <br />임성호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미국과 이란의 전쟁 위기가 가라앉았지만, 정부는 호르무즈 해협 파병 여부에 대해 결정을 미룬 채 숙고를 거듭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최현수 / 국방부 대변인 : 현재 그 사안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결정된 바가 없습니다.] <br /> <br />이런 가운데 내부적으로는 '절충안'이 거론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 /> <br />미국 주도의 호위연합체에 연락장교만 파견하고, 호르무즈 해협에서는 우리 부대가 독자적으로 활동하는 방안입니다. <br /> <br />청와대도 이 같은 안이 논의되고 있음을 시사했습니다. <br /> <br />[노영민 / 대통령 비서실장 : 호르무즈 해협에 대한 '국제해양안보구상'의 일원으로 우리가 참여하는 형태의 파병에 대해서는 결정된 바가 없습니다. (다른 방안은) 내부적으로는 상당 부분 진척돼 있습니다.] <br /> <br />정부가 이처럼 부대 파견 의사를 내비친 건, 중동 현지 교민·기업의 안전과 원유 수급을 위해 해협 안전을 확보할 필요성 때문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여기에 한미동맹을 강조하며 계속되는 미국의 파병 요구를 더는 무시하기 힘든 상황입니다. <br /> <br />실제로 최근 해리 해리스 주한 미국대사와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이 잇따라 우리 군의 호르무즈 파병을 거듭 촉구했습니다. <br /> <br />한편에서는 정부가 한반도 문제를 둘러싼 미국과의 향후 협력을 염두에 뒀을 거란 관측도 내놓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정부가 부인하고는 있지만 방위비 분담금 협상의 지렛대로 삼거나, 아니면 남북협력 사업을 추진하며 미국의 양해를 얻는 데 활용할 수도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임성호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00119050855766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