대검찰청과 길 하나 사이 둔 중앙지검의 분위기도 만만치 않습니다.<br /><br />지난 번 청와대 압수수색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돌아왔죠.<br /><br />청와대와 12일 동안 신경전 중입니다.<br /><br />그동안 어떤 일이 있었는지 김윤정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<br /><br />[리포트]<br />지난 10일 검찰의 압수수색이 무산된 이후 청와대와 검찰은 전화를 통해 의견 조율을 해왔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<br /><br />청와대에서는 민정수석실 산하 법무비서관실 행정관이, 검찰에서는 평검사가 전화 조율 담당자였습니다.<br /><br />검사는 청와대 지적에 따라 영장을 보완했으니 영장에 적시된 자료를 임의 제출해달라고 요구했습니다.<br /><br />거부할 경우 사유서를 내달라고도 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청와대는 수정된 영장도 여전히 압수대상이 특정되지 않았다며, 압수수색을 거부했고 사유서도 제출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<br /><br />전화를 통한 협의는 지난 13일까지 이어진 것으로 알려졌는데, 15일 이후로는 전화 협의마저 끊긴 상황입니다.<br /><br />청와대와 검찰은 서로 상대방을 탓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청와대는 "압수수색 기한은 15일까지로, 이미 종료된 상태"라며, "압수수색을 하려면 영장을 다시 발부받아야 한다"고 주장했습니다.<br /><br />반면 검찰은 압수수색이 종결되지 않고 중단된 상태이므로 "기한이 종료되지 않았다"고 반박했습니다.<br /><br />압수수색이 진전이 없는 사이 청와대는 검찰 인사 전단계인 직제 개편안을 통과시키며 검찰개혁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[제3회 국무회의]<br />"'악마는 디테일에 있다'는 말처럼 세부적인 사항을 조정하는 것이 더 힘든 일이 될 수도 있습니다."<br /><br />문재인 대통령은 검찰개혁법 시행 준비 과정에서부터 "객관성과 정치적 중립성을 확보해야 한다"고 강조했습니다.<br /><br />채널A뉴스 김윤정입니다.<br /><br />yjyj@dong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