제주4·3 희생자 14명 유해 70년 만에 가족 품으로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해방 후 극심한 좌우 이념 대립 시기에 일어난 제주4·3사건 희생자 14명의 유해가 70여년 만에 가족 품에 돌아왔습니다.<br /><br />이유도 모른 채 끌려간 아버지의 뒷모습만 기억하며 살아온 반백의 딸은 원망과 회한의 눈물만 흘렸습니다.<br /><br />김영만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제주 4·3평화공원 평화교육센터에서 열린 제주4·3 희생자 신원 확인 보고회.<br /><br />희생자 유족들이 70여 년 만에 돌아온 가족의 유해함에 이름표를 붙이고 하얀 국화꽃을 올려놓습니다.<br /><br />70여 년 전 부당한 공권력에 의해 억울하게 아버지를 잃은 뒤 통한의 세월을 지내온 딸은 아버지의 유해를 부여잡고 감정이 복받쳐 "아버지, 아버지"를 부르며 하염없이 눈물만 흘렸습니다.<br /><br /> "너무 기쁩니다. 나는 이제는 죽어도 원한이 없고…두 사람이 와 가지고 팔장을 끼고 데려가는데 그것이 아버지하고 이별이라… 내가 살아오는데 너무 힘들었어요. 아버지 원망도 많이 했어요. 아버지 딸 하나 낳고 왜 혼자 가셨냐고…"<br /><br />유전자 감식을 통해 신원이 확인된 14명의 유해는 제주4·3과 관련해 1949년과 1950년 군법회의에서 사형을 선고받거나 법의 보호를 받지 못하고 무고하게 희생된 사람들입니다.<br /><br />이들 유해는 2007∼2009년 제주공항 활주로 서북쪽과 동북쪽에서 발굴됐습니다.<br /><br />2006년부터 2018년까지 제주공항 등에서 발굴된 4·3 희생자 유해는 모두 405구인데, 이번 14명을 포함해 133구만 신원이 확인됐습니다.<br /><br />제주4·3사건은 1947년 3·1절때 경찰의 발포사건을 기점으로 1954년 9월까지 7년여년간 제주에서 발생한 무력충돌과 군경의 진압과정에 수많은 양민이 희생된 사건을 말합니다.<br /><br />적게는 1만 4천명, 많게는 3만명이 희생당한 것으로 추정됩니다.<br /><br />4.3사건의 진상규명과 희생자 명예회복을 위해 지난 2000년 제주 4·3특별법이 제정됐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제주 지역에선 70여년 전 부당한 국가 공권력에 희생된 피해자들에 대한 진상조사가 충분하게 진행되지 못했다며 법개정을 통한 추가 진상조사를 요구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 김영만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