지난해 2년 연속 글로벌 수주 1위를 차지한 한국 조선업계가 올해도 카타르 등 주요국으로부터 LNG 운반선 대규모 수주를 기대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LNG 운반선 건조 핵심 기술 사용에 대한 해외 로얄티 지불과 글로벌 발주량 위축, 중소 조선업체의 경영 위기라는 해묵은 과제가 여전히 남아 있습니다. <br /> <br />박병한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국내 조선업계 빅3는 지난해 글로벌 LNG선 발주량의 80% 이상을 따내는 성과에 힘입어 2년 연속 수주 1위를 달성했습니다. <br /> <br />영국의 조선해운 분석기관 클락슨 리서치는 지난해 전 세계 LNG선 발주 물량 63척 가운데 우리나라가 51척이나 수주했다고 발표했습니다. <br /> <br />현대중공업그룹이 23척, 삼성중공업 18척, 대우조선해양이 10척의 LNG 운반선을 각각 수주했습니다. <br /> <br />LNG 운반선은 평균 건조 가격이 2천억 원을 넘는 고부가가치 선박입니다. <br /> <br />이런 LNG 운반선 수주 호조에 힘입어 한국 조선사들은 작년 943만 CGT(표준화물선 환산톤수)를 수주해 2년 연속 글로벌 1위를 기록했습니다. <br /> <br />글로벌 선박 발주 2천529만 CGT 가운데 37%를 한국이 차지했고 2위 중국, 3위 일본의 순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LNG 운반선 수주 행진은 올해도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카타르 국영 석유회사 카타르페트롤리엄이 지난해 5월 최대 100척의 LNG선을 순차적으로 발주한다고 밝혔고, 이 발주 물량이 올해 집중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일본은 이미 1990년대 이후 경쟁에서 뒤처졌고, 중국은 자체 제작한 LNG 운반선이 지난 2018년 바다에서 고장으로 멈춰선 뒤 아직 신뢰를 회복하지 못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다만 글로벌 조선 시장에서 발주량 자체가 성장하지 않고 위축되고 있는 게 큰 과제입니다. <br /> <br />[엄경아 / 신영증권 조선업 애널리스트 : 실질적으로 조선업계가 살아나려면 전체 발주량이 늘어야 하는데 올해도 발주량이 많이 늘 것으로 보이지는 않습니다.] <br /> <br />또 LNG 운반선의 핵심인 '화물창' 기술을 프랑스 업체가 독점하고 있어, 1척마다 120억 원의 로열티를 지불해야 하는 것도 장벽입니다. <br /> <br />이와 함께 빅3를 제외한 중소 조선업체들이 심각한 경영난을 겪고 있어 협력업체까지 아우르는 맞춤형 대책이 필요해 보입니다. <br /> <br />YTN 박병한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00125054619597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