아우슈비츠 해방 75주년…"역사를 기억하고 반성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인류 역사상 가장 잔혹한 만행으로 꼽히는 독일 나치의 홀로코스트에서 유대인들이 해방된 지 75주년이 됐습니다.<br /><br />비극의 현장인 폴란드 아우슈비츠 수용소에선 가해자의 후손들이 머리 숙여 반성을 거듭하며 용서를 구했습니다.<br /><br />박혜준 PD입니다.<br /><br />[리포터]<br /><br />폴란드 아우슈비츠 강제수용소에 내린 어둠을 작은 촛불이 밝힙니다.<br /><br />홀로코스트 생존자와 각 국 지도자들이 촛불을 들고 추모비 앞에 섰습니다.<br /><br />프랑크-발터 슈타인마이어 독일 대통령도 머리를 숙이고 용서를 구합니다.<br /><br />최근 반유대주의의 부활에 대한 우려가 나오는 가운데 폴란드 아우슈비츠 '죽음의 문' 앞에서 홀로코스트 해방 75주년 행사가 진행됐습니다.<br /><br />홀로코스트 생존자 200여 명과 독일, 이스라엘 대통령, 네덜란드 왕실 인사 등 세계 50여 개국 대표단이 참석해 희생자들을 추모했습니다.<br /><br /> "(처음에 내가 살아 남아서 가장 힘들었던 것은) 내 팔에 새겨진 죄수 번호 문신이나 다른 어떤 것이 나에게 더 큰 고통을 준다는 것을 말할 수조차 없었기 때문입니다."<br /><br />가해자 격인 슈타인마이어 독일 대통령은 행사 당일 베를린 대통령 관저에서도 홀로코스트 생존자들을 만나 위로했습니다.<br /><br />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파리의 유대인박물관을 찾아 최근 잇따랐던 유대인 혐의범죄를 상기시키며 과거의 만행을 잊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습니다.<br /><br /> "아우슈비츠와 프랑스 비극이 일어난 파리에서 우리는 그들의 역사를 계속 기억할 것이고, 그들의 이름 앞에 반성하고 고개 숙일 것입니다."<br /><br />유대인 소녀 안네 프랭크가 희생된 네덜란드에선 마르크 뤼테 총리가 정부 차원에서는 처음으로 유대인 박해에 대해 사과했습니다.<br /><br />과거사에 대한 반성과 사과로 이어진 아우슈비츠 해방 75주년.<br /><br />과거를 부인하며 진실을 외면하는 일본과 대조를 이룹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박혜준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