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‘신종 코로나 바이러스’ 잠복기 감염 근거는?

2020-01-28 7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지금 보면 무서워서 불안하기 보다 이 바이러스에 대해 몰라서 더 불안한 상황이죠. <br> <br>정책사회부 이상연 기자와 궁금증을 풀어보겠습니다. <br><br>1. 가장 궁금한 건 이거에요. 증상이 없는 바이러스 잠복기에도 다른 사람에게 옮긴다는 중국 정부의 말, 사실인가요? <br><br>결론부터 말씀드리면 "아직 알 수 없다"는 겁니다. <br> <br>제가 질병관리본부는 물론, 국내에서 저명한 감염내과 교수의 의견을 들어봤는데요, <br> <br>한결같이 '반신반의'하는 분위기였습니다.<br> <br>이 논란은 이틀 전 중국 보건당국이 잠복기에도 전염력이 있다고 발표하면서 촉발됐는데요. <br> <br>하지만 중국이 근거를 밝히고 있지 않아서, 우리 보건당국도 중국 측에 관련자료를 요청한 상태입니다. <br> <br>[이재갑 / 한림대 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교수] <br>"너무 근거가 없어서 중국 측의 자료가 나와봐야지 다시 한번 논의가 가능할 것 같구요. 일반적인 호흡기 바이러스 특성하고는 전혀 안 맞는 부분이기 때문에 반신반의 하는" <br> <br>1-2. 그럼 아직 중국 정부의 말을 믿을 단계는 아니네요? <br> <br>그렇진 않습니다. <br> <br>익명을 요구한 감염내과 교수 한 명은 환자 사례가 압도적으로 많은 중국의 발표를 엄중하게 받아들일 필요가 있다고 말합니다. <br> <br>만약 중국의 발표가 사실이라면 방역 시스템을 손봐야 한다는 의견도 전해왔습니다.<br> <br>2. 또 궁금한 점, 이 바이러스 치료제는 진짜 없나요? <br><br>현재로선 없습니다. <br> <br>이 바이러스 감염증 말 그대로 신종입니다.<br> <br>이 병이 나타날 걸로 미리 예상하고 과거에 개발해놓은 맞춤형 치료제가 없다는 겁니다. <br> <br>대신 사전 예방을 위한 백신 개발에 미국과 중국, 호주 등이 뛰어들고 있는데요. <br> <br>신종 바이러스인 만큼 효과적인 백신을 개발하기까지 최소 석달이 걸릴 것이라는 관측이 나옵니다. <br> <br>2-1. 그렇다면 격리되어 있는 확진자 네 명은 치료제도 없이 무슨 치료를 받고 있습니까? <br><br>증상을 누그러뜨리는 대증 치료를 하는 겁니다. <br> <br>우리가 감기에 걸렸을 때 바이러스를 치료하는 게 아니라 기침약, 콧물약을 먹는 것과 비슷한 원리인데요. <br> <br>호흡 곤란으로 저산소증이 오면 산소 공급을 해주고 감염성 폐렴이 오면 항생제를 쓰는 방식으로 증상 치료를 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2-2. 중국에서는 에이즈 치료약을 쓰기도 한다는데 우리는 어떤가요?-- <br> <br>에이즈 치료약이 대표적인 '항바이러스' 제재인데요. <br> <br>기존의 사스나 메르스처럼 코로나 바이러스 계열의 병에서 효과를 발휘했던 약을 사용하는 겁니다. <br> <br>메르스 사태 때 국내에서도 에이즈 치료약이 사용됐었구요, 지금도 한국 감염학회에서 메르스 때의 진료 가이드라인을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에 맞춰 업데이트 하고 있고, 주치의가 환자 상태에 따라 사용하게 됩니다. <br> <br>3. 우리가 할 수 있는 예방책이라곤 손 씻는거와 마스크 쓰는 건데요. 비싼 마스크를 사야 하나요? <br><br>전문가들은 우리가 보통 황사마스크라고 부르는 KF80을 추천했습니다. <br> <br>약국이나 편의점에 쉽게 구할 수 있는 마스크인데요, <br> <br>미세먼지 마스크에는 필터의 구멍 크기에 따라서 등급이 나뉘고, 숫자가 클수록 차단력도 높은데요. <br> <br>가장 차단율이 높은 KF94는 의료진이 격리 진료실에서 환자를 대면할 때 쓰는 마스크인데요, <br> <br>일상생활에 이런 마스크를 쓰면 숨이 찰 수 있습니다. <br> <br>때문에 마스크를 손으로 만지거나 자주 벗는 것보다는 덜 답답한 KF80 마스크를 얼굴이 딱 맞게 쓰는게 낫다고 조언합니다. <br><br>네, 지금까지 이상연 기자였습니다.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