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이렇게 들어오는 사람들뿐만 아니라, 중국 우한에서 한국으로 이미 들어온 사람들에 대해 문재인 대통령이 전수조사하라고 지시했죠. <br> <br>지금까지 6천여명이 들어온 것으로 추정되는데, 잠복기가 지난 사람을 제외하면 조사 대상자 3000명입니다. <br> <br>그런데 외국인이 상당수라 소재를 파악하는 것부터 어렵습니다. <br> <br>김윤정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오늘부터 중국 우한에서 입국한 사람들에 대해 전수조사가 시작됐습니다. <br> <br>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자가 발생한 지난해 12월 30일부터 우한이 봉쇄된 지난 23일까지 우한에서 우리나라로 입국한 탑승객은 6,430명입니다. <br> <br>23일 이후에도 추가 입국자가 있었는데 이 가운데 잠복기를 넘긴 3천여명을 제외해 전수조사 대상은 총 3,023명입니다.<br> <br>이미 경미한 증상이 있는 100여 명은 능동감시 대상자로 분류해 검사에 들어갔습니다. <br><br>나머지 대상자는 여권 등 개인 정보로 최대한 소재를 파악하고, 지자체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연락을 취해 증상이 있는지 확인중입니다. <br> <br>[정은경 / 질병관리본부장] <br>"모니터링하는 중에 발열 또는 호흡기 증상이 확인되는 경우 국가지정 입원치료병상에 이송하여 격리 및 검사를 실시하겠습니다." <br> <br>문제는 소재 파악에 시간이 걸린다는 점입니다. <br> <br>전수조사 대상자 중 절반 이상이 외국인인데, 이들 대부분 주소지와 연락처가 불분명합니다.<br> <br>단기 체류자의 경우 입국신고서에 써놓은 주소지가 전부인데다 휴대폰 연락처가 없는 경우도 많기 때문입니다. <br> <br>정부는 출입국기록을 관리하는 법무부는 물론 경찰청의 협조도 받아 조사 대상자를 추적하기로 했습니다. <br> <br>개학을 앞둔 만큼 교육부도 전수조사에 나섭니다. <br> <br>중국 후베이성을 다녀온 학생과 학부모, 교직원이 대상이며, 대상자에게 14일 동안 자가격리를 요청했습니다. <br> <br>채널A뉴스 김윤정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: 정승호 <br>영상편집 : 최동훈