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차 감염 여부 촉각…"1~2주가 고비"<br />[뉴스리뷰]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신종 코로나바이러스의 잠복기는 최장 14일입니다.<br /><br />감염이 됐어도 초기엔 발견이 쉽지 않은데요.<br /><br />국내 확진 환자들과 접촉한 사람들에게 2차 감염이 생길 수 있는데, 앞으로 1~2주가 고비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배삼진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국내 세 번째와 네 번째 확진자는 이른바 무증상 잠복기 감염자로, 국내 검역망이 잇따라 뚫렸습니다.<br /><br />세 번째 환자는 74명, 네 번째 환자는 95명과 밀접 접촉했습니다.<br /><br />이들은 초기 증상이 나타났는데도 대중교통을 타고 의료기관을 방문하는 등 외부 활동을 했습니다.<br /><br />잠복기를 고려할 때 지역사회 내 2차 감염 여부는 1~2주가 고비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중국 보건당국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잠복기에도 감염이 된다고 밝혔는데, 우리 보건당국은 중국 측에 그 근거를 알려달라고 요청한 상태입니다.<br /><br />바이러스 보균자에 의한 지역사회 2차 감염을 막는 것이 중요한데, 무증상자가 입국하는 경우 1차 검역 단계에서 차단하기는 사실상 어렵습니다.<br /><br />실제 감기로 오해해 해열제나 진통제를 먹고 입국하거나 증상이 아예 나타나지 않으면 검역을 빠져나갈 가능성이 높습니다.<br /><br /> "무증상 상태에서는 검사 진행도 어려워요. 그렇기 때문에 지역사회 감염 전파를 피하기 어려울 것이다. 일단은 밀접 접촉자 관리가 중요하죠. 그런 분들을 최대한 많이 찾아내야 되고…"<br /><br />지나친 불안이나 공포를 경계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습니다.<br /><br />세계보건기구, WHO는 신종 코로나가 전염성은 중동호흡기증후군, 메르스보다 강하지만 급성 호흡기증후군, 사스보다는 낮다고 평가했습니다.<br /><br />치사율 역시 3~4%로 9%대인 사스보다 낮다고 분석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중국에서 전 세계로 번지는 상황인 만큼 추가 확산을 막기 위해서는 1차 방역망인 공항 검역이 더 중요해졌습니다.<br /><br />또 국내 확산을 막기 위해선 중국을 여행했을 경우 그 사실을 숨기지 말아야 하고, 감염이 의심되는 경우 외부 활동을 자제하고 질병관리본부 콜센터 전화번호 1339로 신고해야 합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배삼진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