세계보건기구, WHO가 특정 질병에 대해 비상사태를 선언한 것은 이번이 6번째입니다. <br /> <br />그동안의 사례를 보면 확산이 빠르고 피해가 심각하다는 점뿐 아니라 내전 등 정치 사회적 환경도 질병 확산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이경아 기자가 정리했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 2009년 3월 멕시코에서 시작된 신종플루. <br /> <br />기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변종인 새로운 바이러스는 사람 간의 전염이 쉬워 불과 한 달 만에 전 세계로 퍼졌습니다. <br /> <br />걷잡을 수 없는 확산 속도에 세계보건기구, WHO는 그 해 4월 비상사태를 선포했습니다. <br /> <br />발생 이후 1년 동안 전 세계적으로 만 5천여 명, 한국에서는 230명이 사망했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1976년 처음 실체가 확인된 에볼라 바이러스는 높은 치사율 때문에 두 차례나 비상사태를 불러왔습니다. <br /> <br />2013년 12월부터 기니 등 서아프리카에서 맹위를 떨칠 당시 역사상 가장 큰 규모의 에볼라 유행 사태로 꼽혔습니다. <br /> <br />2016년 3월까지 이 지역 감염자 중 40%인 만 천여 명이 숨졌는데, 열악한 현지 보건 의료 체계도 피해를 키운 원인으로 꼽혔습니다. <br /> <br />2018년 8월 시작된 콩고 에볼라 유행 사태는 여전히 진행형입니다. <br /> <br />콩고민주공화국에서 시작해 우간다로 넘어간 바이러스는 심각한 내전 때문에 통제가 어려웠고, 현재 사망자 2천 2백 명을 넘어섰습니다. <br /> <br />사태가 심각해지면서 세계보건기구는 4차례에 걸친 회의 끝에 결국 지난해 7월 비상사태를 선언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뿐 아니라 2014년 야생형 소아마비, 2015년 중남미를 중심으로 대유행한 지카 바이러스도 WHO 비상사태를 부른 질병으로 기록됐습니다. <br /> <br />[마이클 라이언 박사 / WHO 건강 비상 프로그램 담당 국장 : 완벽한 결정을 할 만큼 충분한 정보란 없습니다. 하지만 우리가 결정하고 행동하지 않으면 기회를 놓치죠. 이런 결정은 과학과 공공보건, 정책이 만날 때 할 수 있는 것입니다.] <br /> <br />언제 어떻게 나타날 지 모르는 질병과의 싸움. <br /> <br />전 세계적이고 보다 효율적인 공동 대응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이경아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00131055649140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