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8세 유권자 많은 지역은?…선거 당락 변수 될까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이번 총선부터 만 18세가 새로운 유권자로 등장하면서 정치권에서는 이들의 표심이 어디로 향할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데요.<br /><br />18세 유권자가 많은 지역은 어딘지, 또 당락을 좌우할 새 변수가 될 수 있을지 정다예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올해부터 선거에 참여하게 된 만 18세 유권자는 약 53만 명.<br /><br />전체 인구의 1%를 약간 웃도는 수준에 그치지만, 결코 가볍게 볼 순 없습니다.<br /><br />만 18세 유권자가 가장 많이 사는 곳은 14만 명이 거주하는 경기도입니다.<br /><br />8만여 명인 서울이 뒤를 잇습니다.<br /><br />인천까지 포함하면 18세 유권자 절반가량인 26만여 명이 수도권에 거주하는데, 불과 몇 천, 몇 백 표 차이로 당락이 갈리기도 하는 수도권에서는 큰 변수가 될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가장 발 빠르게 나선 정당은 정의당.<br /><br /> "만 18세의 정치진입은 세대교체를 알리는 신호탄이자 이번 총선의 승패를 가를 캐스팅보트가 될 것입니다."<br /><br />만 18세 청소년 16명의 입당식을 열고 청소년 유권자를 겨냥한 정책을 가장 먼저 발표했습니다.<br /><br />학자금 무이자 대출, 청년사회상속제 도입 등이 골자입니다.<br /><br />민주당도 당내 전국청년위원회를 전국청년당으로 승격했고, 청년당 안에 청소년분과를 발족해 만 16~18세 당원들을 영입 중입니다.<br /><br />청년과 신혼부부에 주택 10만 호를 공급하는 청년·신혼 맞춤형 도시 공약도 내놨습니다.<br /><br />당초 선거권 연령 하향에 반대했던 한국당도 청소년층 공략방안을 고심 중입니다.<br /><br />"선거권 연령하향을 '쿨'하게 수용하고 '청소년 민심'을 공략할 구체화된 전략이 시급하다"다는 당 싱크탱크 평가도 나왔습니다.<br /><br />다만 고등학교까지 선거판, 정치판이 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자 선관위는 학교 선거운동 기준을 내놨습니다.<br /><br />학교 내에 선거 현수막을 붙여선 안 되고, 선거 운동을 할 경우엔 2곳 이상의 교실을 연속으로 돌 수 없도록 했습니다.<br /><br />선거판에 처음 뛰어드는 만 18세 유권자들 표심이 어디로 향할지 주목됩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정다예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