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이 확산일로에 들어서면서 국내 금융시장도 연일 흔들리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일부 종목은 과열 투자 양상까지 보이는데요, 이런 불확실성이 얼마나 이어지게 될까요? <br /> <br />금융시장 상황과 전망을 조태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설 연휴가 끝난 뒤 처음으로 열린 증시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의 직격탄을 맞았습니다. <br /> <br />무려 3% 넘게 폭락하며, 2,180선을 내준 겁니다. <br /> <br />주말을 앞두고는 2,120선마저 무너지며, 지난해 말 수준으로 되돌아갔습니다. <br /> <br />[이나예 / 한국투자증권 연구원 : 그동안 시장이 상당히 빠른 속도로 회복됐는데 관련 이슈가 대두하면서 중국을 필두로 전반적인 경기 회복 속도가 느려질 것에 대한 우려감이 나타났습니다.] <br /> <br />종목별로는 희비가 엇갈렸습니다. <br /> <br />마스크나 소독제 관련 종목은 폭등했지만, 연관 바이오 회사의 주가는 급등과 급락을 오갔고, 호텔신라와 하나투어 같은 중국 소비 종목, 여행 종목은 부진을 면치 못했습니다. <br /> <br />일부 이상 과열 종목에 대해서는 한국거래소가 투자 유의를 당부할 정도였습니다. <br /> <br />주가가 맥을 못 추는 사이 안전자산의 인기는 치솟았습니다. <br /> <br />달러를 찾는 사람이 늘면서 원·달러 환율은 다시 1달러에 1,190원선을 넘어섰고, 금값도 오름세를 이어갔습니다. <br /> <br />[서정훈 / KEB하나은행 연구원 : 원·달러 환율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이 진정되지 않고 계속 이어진다면 중장기적으로 상승 탄력을 받을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.] <br /> <br />일단 이러한 금융시장의 불안이 장기간 이어지진 않을 것이란 전망이 나옵니다. <br /> <br />과거에도 여러 차례 감염병에 따른 세계 증시의 일시적인 부진이 있었지만, 중장기적인 방향성 자체가 바뀐 경우는 없었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[김용구 / 하나금융투자 연구원 : 시장이나 경제 환경을 좀먹는 시스템적 위험이 아닌 이상에는 (과거 유사 사례 때도) 실물 경기 측면의 파장과 금융시장의 영향은 철저하게 단기로 제한됐었다는 점을 곱씹어볼 필요가 있습니다.] <br /> <br />다만 국내 경기가 좀처럼 회복의 기미를 보이지 못하는 가운데 발생한 또 다른 악재라, 사태가 길어진다면 경제 체력에 대한 우려가 커져 상당 기간 방향성을 잃고 표류하는 시장 상황이 이어질 수 있다는 분석도 제기됩니다. <br /> <br />YTN 조태현[choth@ytn.co.kr]입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00201152105933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