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오늘 확진 판정을 받은 16번째 확진자의 감염 경로가 미스터리입니다. 그만큼 불안도 커지는 상황인데요. 정책사회부 이상연 기자와 짚어보겠습니다. <br><br>1. 16번째 확진자, 태국 여행을 다녀온 뒤, 확진을 받았다는 거죠? 중국에는 간 적 조차 없는 건가요? <br> <br>우선, 16번째 확진자는 중국 방문 이력이 없습니다. <br><br>다만, 지난달 태국 방콕 파타야를 여행한 뒤 무안국제공항을 통해 귀국했는데요, 제 3국 입국자 감염이 첫 사례는 아니지만, 일본 확진자와 접촉력이 확인됐던 12번째 확진자와 달리, 감염 경로가 미스터리입니다. <br><br>1-2. 태국 여행 중에 걸렸다고 볼 확신도 없는 거죠? <br><br>우선 16번째 확진자가 태국을 빠져나온 지난달 19일 태국 확진자는 2명이었습니다. <br><br>태국 지역사회에 신종 코로나 전파가 이뤄지지 않았던 시점이라서 가능성이 크진않아 보이구요, <br> <br>다만, 다양한 국적의 많은 여행자들이 모이는 공항이나 기내에서의 감염 가능성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. <br> <br>또 16번째 확진자가 한국에 귀국한 뒤부터 증상이 나타나기 전까지 엿새간의 동선이 공개되지 않았기 때문에 국내 감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.<br><br>2. 이 확진자가 처음 증상이 나타나 병원에 다니기 시작한 게 열흘 전이에요. 열흘동안 자유롭게 병원을 다닌 건데, 결과적으론 병원에서 전파했을 우려도 있는 거 아닌가요? 메르스 때 슈퍼 전파자 악몽이 떠오르던데요. <br> <br>슈퍼 전파자. 한 명이 여러명에게 바이러스를 퍼뜨리는 경우를 말하는데요, 대부분 의료기관에서 발생합니다. <br><br>밀폐된 진료실에서 의료진과 밀접하게 접촉하게 되고, 또 면역력이 약한 환자들이 모인 곳이기 때문입니다. <br> <br>메르스 사태 때도 첫번째 환자가 평택성모병원에서 30명 이상에게 바이러스를 퍼뜨렸는데요, <br> <br>16번째 환자가 이미 폐렴이 심한 상태에서 전남대 병원과 광주 21세기 병원에서 진료를 받았고 21세기 병원에서는 입원까지 했었기 때문에 지금까지의 확진자 중에 2차 감염 우려는 가장 크다고 볼 수 있습니다. <br><br>3. 문제는 중국입니다. 오늘도 사망자 수가 60명을 넘어요. 그 수치마저 축소됐다는 의혹도 있지만, 왜 이렇게 늘어나는 겁니까. <br><br>중국의 사망자, 오늘 하루만에 64명이 늘어 누적 사망자 425명을 기록했습니다. <br><br>하루 사망자 수가 50명, 60명 씩 큰 폭으로 늘고 있는데요, 학계에서는 중증환자들의 적체 현상 때문으로 보고 있습니다. <br> <br>잠복기를 거쳐 증상이 나타난 뒤 중증으로 발생하기 까지 시간이 걸리는데 중국 첫 확진자 발생으로부터 두달이 되어가다보니 <br>완치가 안된 중증 환자의 사망이 속출한다는 겁니다. <br> <br>근본적인 원인으로는 증상이 심해지기까지 제대로 검사와 치료가 이뤄지지 못한 점도 꼽힙니다. <br> <br>한 홍콩 외신기자는 자신 SNS에 "우한에서는 검사 받는 걸 복권 당첨 처럼 여긴다"는 글을 올리기도 했습니다. <br> <br>네, 지금까지 이상연 기자였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