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최근 뉴스도 온통 바이러스 소식이지만, 안방극장에서도 바이러스 재난 영화가 최고 인기입니다. <br> <br>9년 전 개봉했던 이 재난 영화의 하루 평균 시청 횟수가 지난해와 비교해 800배 넘게 늘었습니다. <br> <br>정보도 얻고 대리만족도 느끼는 심리라는데요. <br> <br>박지혜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홍콩의 식당에서 식사를 한 아내. <br> <br>피곤함을 호소하더니 갑자기 발작을 일으킵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“(부인은 사망했습니다.) <br>무슨 소리예요, 무슨 일이 생긴 거죠?” <br> <br>일상 생활 접촉으로 바이러스 감염자 수 천 명이 생겨났는데, 감염원은 다름 아닌 '박쥐'였습니다. <br> <br>2011년 개봉한 영화 컨테이젼입니다. <br> <br>신종 코로나 사태를 예견한 듯 스토리가 닮아 있습니다. <br><br>영화관 대신 집에서 영화를 시청하는 사람들이 늘면서 하루 평균 시청횟수가 지난해 평균 시청횟수의 800배를 넘었습니다. <br><br>[ 박지혜 기자] <br>“이런 닮은 꼴 영화뿐만 아니라 재난 영화 전체가 덩달아 인기를 끌고 있는데요, <br> <br>우리나라 영화 ‘감기’도 시청 횟수가 무려 50배 가까이 늘었습니다.“ <br> <br>바이러스 진행을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영화를 통해 정보를 얻고, 대리 만족을 느낀다는 분석이 나옵니다. <br> <br>[이현경 / 경기 수원시] <br>“영화에서 대피하는 모습이나 해결하는 모습을 간접적으로나마 보고 싶은 마음에…" <br> <br>[윤성은 / 영화 평론가]<br>"어떻게 해서든지 백신을 맞는다든가, 해결되는 상황들이 나오기 때문에 불안감을 해소하고자 하는 심리로 (해석됩니다)" <br> <br>영화관 기피가 이어지면서 안방 속 재난영화도 한동안 인기를 끌 전망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박지혜입니다. <br> <br>sophia@donga.com <br>영상취재 : 윤재영 <br>영상편집 : 이승근