도전 56년만에…'기생충' 오스카 벽 넘을까?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한국영화 최초로 '기생충'이 오스카 수상에 다가가면서 아카데미에 대한 관심도 커지고 있는데요.<br /><br />오스카는 외국 영화에 배타적이기 때문에, '기생충'이 수상한다면 영화사의 큰 의미로 기록될 전망입니다.<br /><br />박효정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한국영화 최초로 오스카에 도전한 작품은 1963년 고 신상옥 감독의 '사랑방 손님과 어머니'입니다.<br /><br />2000년대 들어서는 한국영화가 거의 매년 오스카로 갔는데 임권택 감독의 '춘향뎐', 이창동 감독의 '오아시스', 김기덕 감독 '피에타' 등이 오스카의 문을 두드렸습니다.<br /><br />지난해 이창동 감독의 '버닝'이 최초로 외국어영화상 예비후보에 오르며 가능성을 열었지만 최종 후보에는 들지 못했습니다.<br /><br />봉준호 감독의 '기생충'이 작품상과 감독상을 비롯한 오스카 6개 부문 후보에 오른 건 그래서 더욱 의미있습니다.<br /><br /> "(오스카는) 몇 천명의 사람이 투표한다고 들었어요. 제가 아마 최초의 과정을 겪고 있는것 같아요."<br /><br />올해로 92회를 맞는 오스카는 전 세계 상업영화의 심장 할리우드를 대표하는 최고 권위의 영화상입니다.<br /><br />다만, 명성에도 불구하고 백인 중심, 할리우드 중심의 축제라는 비판은 끊이지 않았습니다.<br /><br />흑인을 비롯한 유색인종 후보의 수상은 화제가 될 정도로 드물었고, 2015년과 이듬해 남녀 주연상과 조연상 후보 전원이 백인들로 구성되면서 보이콧 조짐까지 일었습니다.<br /><br />대만 출신 이 안 감독이 아시아 최초로 오스카 감독상을 수상했지만, 오스카의 벽은 자국을 제외한 다른 나라 영화와 감독에게 여전히 높은 게 현실.<br /><br />도전 56년만에 본선 무대에 오른 한국영화가 오스카의 보수적인 틀을 깨고, 영화사의 새로운 위업을 달성할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박효정입니다. (bako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