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6번 환자 접촉자만 306명…병원발 감염 확산 우려<br />[뉴스리뷰]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태국여행을 다녀온 16번째 환자가 접촉한 사람이 300명이 넘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.<br /><br />다친 딸을 간호하느라 병원에 있었는데 여기서 접촉한 사람만 291명입니다.<br /><br />5년 전 메르스 때처럼 병원에서 병이 옮는 상황이 우려됩니다.<br /><br />이진우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42살 여성, 16번째 환자가 태국에서 돌아온 건 지난달 19일, 하지만 엿새가 지난 25일에야 오한이 나타나기 시작했습니다.<br /><br /> "당시 광주21세기병원에 입원한 딸의 간병을 위해 같은 병실에 지냈으며, 간병을 하는 와중에는 외출을 거의 못하고 병원 내에서 입원병실과 외래를 오가며 본인의 폐렴 치료를 받았습니다."<br /><br />병원에선 16번 환자가 중국을 다녀오지 않은데다 과거 폐 질환을 앓았던 터라,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를 의심하지 않았고 결국 입국 16일이 지나서야 확진 판정을 받았습니다.<br /><br />그 새 16번째 환자가 접촉한 사람은 300여명.<br /><br />가족, 친지 15명을 제외하고도 전남대병원 19명, 광주21세기병원 272명에 달합니다.<br /><br />이 중 딸은 이미 감염돼 18번째 환자가 됐습니다.<br /><br />병원 내 감염 우려가 클 수밖에 없습니다.<br /><br />2015년 메르스 사태 때도 병원에서 인공호흡이나 기도삽관을 하다 환자의 분비물이 공기 중에 퍼져 병이 전파됐습니다.<br /><br /> "기침 재채기 비말 주변에 바이러스가 많은 농도로 나왔을 거다. 그리고 이 환자가 하루이틀이 아니라 장기간 입원했잖아요. 환자가 있고 간병인 있고 의사 간호사 있고 또 방문객도 있고…"<br /><br />특히, 다른 질환이 있는 사람들은 감염에 더 취약한 문제도 있습니다.<br /><br />보건당국은 뒤늦게 16번째 확진자가 딸과 함께 있었던 광주 21세기병원 3층 환자들을 모두 격리하고 집중 감시에 들어갔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이진우입니다. (jinu@yna.co.kr>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