코로나에 멈춘 국내기업 中 공장…"장기화 땐 위험"<br />[뉴스리뷰]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신종 코로나바이러스 확산으로 우리 산업의 국제 공급망이 흔들리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중국산 부품 하나가 없어 자동차 공장이 서더니 우리 기업들의 다른 현지 공장도 돌지 않아 비슷한 상황이 확대될 전망입니다.<br /><br />기업들은 사태 장기화를 우려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나경렬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신종 코로나바이러스 확산을 막으려는 중국 정부의 춘제 휴무 연장으로 가동을 멈춘 국내기업들의 중국 공장은 한둘이 아닙니다.<br /><br />삼성전자 쑤저우 공장과 LG전자의 난징 공장은 9일까지 가동이 중단됩니다.<br /><br />LG화학, SK이노베이션, 베이징현대 등도 사정은 마찬가지고 중소기업을 더하면 정확한 수를 파악하기도 어렵습니다.<br /><br />문제는 연장 휴무가 끝나는 9일 이후 정상 가동을 장담할 수 없다는 점입니다.<br /><br />중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확산 기세가 수그러들지 않는 탓입니다.<br /><br />기업들은 사태의 장기화를 우려합니다.<br /><br /> "당연히 문제가 될 수 있어요. 장기화가 된다면. 지금이야 부품 수급이나 이런 게 춘절 연휴 때문에 준비해놓긴 했는데…"<br /><br />이미 현대차, 쌍용차 생산라인이 멈춘데 이어 르노삼성도 휴업을 검토하는 등 자동차산업이 타격을 받고 있는데, 이런 상황은 산업계 전반으로 확산할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지난해 부품 소재 수입액 1,700억 달러 중 중국산 비중은 30%가 넘어 2위 일본의 두 배였습니다.<br /><br />우리 기업의 현지생산이든, 중국기업 제품이든 그만큼, 중국산 의존도가 큰 겁니다.<br /><br /> "장기화되면 전체적인 공급망이나 생태계를 바꿔야 하거든요. 거기에 따른 리스크가 있어요. 전자, 소재, 배터리업체도…"<br /><br />기업들은 대체 공급지를 물색하며 사태 장기화에 대비하고 있지만 피해를 완전히 막기는 어려운 실정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나경렬입니다. (intense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