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고객 비밀번호 손 댄 우리은행…휴면계좌로 실적 부풀리기

2020-02-06 0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은행이 나 몰래 비밀번호를 바꾼다, <br> <br>믿어지십니까? <br> <br>우리은행이 실적을 부풀리려고 거래가 없는 휴면계좌 고객의 정보를 무단도용 했습니다. <br> <br>안건우 기자입니다.<br><br>[리포트]<br>우리은행 직원들이 고객들의 휴면계좌를 노린 건 2018년이었습니다. <br> <br>1년 넘게 거래가 없던 고객이 휴면계좌를 살린 것처럼 꾸며 영업점 실적 부풀리기에 나선 겁니다. <br><br>휴면계좌에 접속하려면 모바일·인터넷뱅킹 비밀번호를 재설정해야 합니다. <br> <br>그러기 위해 개인정보가 필요한데 직원들은 고객의 개인정보를 무단도용해 임시 비밀번호를 받았습니다. <br> <br>이런 꼼수로 비밀번호를 바꾼 고객 계좌가 2만 3천 개에 달합니다. <br> <br>[정선환 / 서울 영등포구] <br>"고객 신뢰를 바탕으로 운영되는 곳인데, 큰 문제로 인식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." <br><br>우리은행 측은 "2018년 은행 자체 감사로 발견해 금융감독원에 보고했고 고객 피해는 없었다"고 밝혔습니다.<br> <br>하지만 금감원은 사실상 범죄행위로 보고 은행권 전반에 대한 조사에 착수했습니다. <br> <br>휴면계좌에 잠자는 돈이 지난해 6월 말 기준 9조 5천억 원에 이르는 만큼 <br> <br>다른 은행도 유사 사례가 없는지 살펴보는 겁니다. <br> <br>[오정근 / 한국금융ICT융합학회장] <br>"개인정보 보호법·전자금융 관련 거래법 등에 저촉될 가능성이 크다 생각합니다." <br> <br>우리은행은 대규모 투자자 피해로 물의를 빚은 DLF 사태와도 엮여 있습니다. <br> <br>[전지예 / 금융정의연대 사무국장] <br>"작년 DLF 사태도 그렇고, 실적에 눈이 멀어 (멋대로) 비밀번호를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은 내부통제시스템 부실하다는 것이죠." <br> <br>하지만 우리금융지주 이사회는 DLF 사태로 금감원의 중징계를 받은 손태승 회장의 연임을 강행하기로 결정해 논란이 커질 전망입니다. <br> <br>채널A뉴스 안건우입니다. <br> <br>srv1954@donga.com <br>영상취재: 홍승택 <br>영상편집: 이희정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