한일 외교부 국장급협의…강제징용 논의 평행선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한일 외교 국장이 오늘(6일) 서울에서 만났습니다.<br /><br />강제징용 피해자 배상 문제를 논의했지만, 기존 입장차를 확인하는 데 그쳤습니다.<br /><br />방준혁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다키자키 시게키 일본 외무성 국장이 서울 외교부 청사를 찾았습니다.<br /><br />김정한 외교부 아시아태평양국장과 양국 현안을 논의하기 위해섭니다.<br /><br /> "구체적인 메시지는 없습니다만, 오늘 다양한 문제를 논의할 것입니다."<br /><br />2시간 반 가량 이어진 협의에서 김 국장은 강제징용과 관련한 우리의 입장을 재차 강조하는 한편, 일본 수출규제 조치의 조속한 철회를 촉구했습니다.<br /><br />일본 측은 이번에도 기존 입장을 되풀이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<br /><br />양측의 입장이 평행선을 달리면서, 한일관계의 완전한 복원까지는 적지 않은 난관이 예상됩니다.<br /><br />이르면 4월부터 일본 기업의 국내 자산 현금화 조치가 이뤄질 것으로 보이는데, 일본은 강하게 반발해왔습니다.<br /><br />이와 관련해 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기자간담회에서 현금화 조치에 정부가 개입할 수 없다는 점을 분명히 했습니다.<br /><br /> "현금화와 관련해선 정부로서는 그것도 사법절차의 한 부분이기 때문에 그 과정에서 개입을 한다거나 시점을 예단할 수 없는 상황…"<br /><br />다만, 외교부 당국자는 이번 협의에서 현금화와 관련한 구체적인 언급은 없었다고 전했습니다.<br /><br />한편, 양측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대응에 있어서 적극 협력해나가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김 국장은 일본 내 우리 국민 보호를 위한 각별한 관심을 당부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방준혁입니다. (bang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