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뉴스A 시작합니다 <br> <br>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확산세, 끝이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. <br> <br>정세균 국무총리는 검역 수위를 한층 강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중국 이외에 감염이 발생한 주요 국가 즉, 싱가포르와 태국, 홍콩, 대만, 일본 등인데요. <br> <br>이들 국가로부터 입국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검역을 강화하겠다는 겁니다. <br><br>중국인의 입국 제한 조치도 추가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<br> <br>먼저, 김윤수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정세균 국무총리가 중앙사고수습본부 회의를 열고 입국자 검역을 강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[정세균/ 국무총리] <br>"중국 외에 지역사회 감염이 발생한 주요 국가 입국자를 대상으로 검역을 강화하고…. " <br><br>현재 중국을 제외한 지역사회 감염이 발생한 국가는 싱가포르와 태국, 홍콩, 대만, 일본 등입니다.<br> <br>따라서 이곳에서 입국하는 이들은 건강질문서를 의무 제출하고 개별 체온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. <br> <br>중국에 대한 일부 입국 제한 조치도 확대될 수 있다고 언급했습니다. <br> <br>[정세균/ 국무총리] <br>"중국 내 다른 위험 지역에 대한 입국 제한 조치도 상황에 따라 추가로 검토할 것입니다. " <br><br>따라서 중국에서 천여 명 안팎의 확진자가 발생한 곳인 광둥성과 저장성 등이 입국 제한 지역으로 추가될 수 있습니다. <br> <br>다만 지난 일주일간 중국인 입국이 현저하게 줄면서 실질적인 제한 조치가 이뤄지고 있다고 보고, 상황을 좀더 지켜보겠다는 입장입니다. <br> <br>위기경보 단계도 현 '경계' 상태를 유지하기로 했습니다. <br> <br>확진자들이 정부 방역망에서 관리되고 신종 코로나의 치명률이 낮은 것 등을 감안한 겁니다. <br> <br>우한에 남아있는 교민들을 귀국시키기 위한 3차 전세기도 투입됩니다. <br> <br>우한 교민 뿐 아니라 교민의 중국인 직계 가족도 탑승하는데, 중국 정부가 중국인의 탑승을 불허하던 입장을 바꿔 허가했습니다. <br><br>중국에서 오는 내·외국인 입국자 모두 건강 상태 체크용 자가진단앱을 깔도록 하고, 앱에 응답을 하지 않으면 어떤 상태인지 확인하는 방안도 추진합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윤수입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