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어제만 65명의 추가 감염자가 나온 일본 크루즈 현지 소식으로 이어갑니다. <br> <br>언제 풀려날지도 모르고, 복용하던 약마저 떨어진 탑승객들이 자국에 도움을 요청하기 시작했습니다. <br> <br>요코하마에서 김범석 특파원이 전해드립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 <br>[김범석 특파원] <br>"크루즈선 해상 격리조치가 1주일 넘게 이어지면서 전염병 감염에 대한 탑승객들의 공포도 커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선내 상황이 갈수록 악화되면서 견디다 못한 승객들은 이처럼 고령자 건강관리 등이 담긴 지원 요청서를 일본 정부에 제출했습니다." <br><br>특히 고령층은 약 부족과 함께 정보 제공이 제대로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고 도움을 요청하고 있습니다. <br><br>외국인 승객들도 해상 격리가 길어지자 불편함을 호소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[오 나 탠 / 호주 승객] <br>"이번 주 콘서트 가기로 했는데, 일상을 놓치고 있는 것 같아요." <br><br>[게이 커터 / 미국 승객] <br>"일본 정부는 하선을 허락하지 않고 있어요. 미국 정부가 우리 구출해주세요." <br><br>인도인 승무원은 인도 총리에게 구조를 요청했습니다. <br> <br>[비나이 / 인도인 승무원] <br>"제발 우리를 구해 주세요. 직업보다 인생이 더 중요해요." <br><br>감염자가 135명으로 급증한 가운데 폐쇄된 공간인 선박에서 환자 침방울이 작은 입자로 쪼개져 전파되는 '에어로졸' 감염 우려도 나오고 있습니다. <br> <br>일본 정부도 뒤늦게 고령자를 중심으로 조기 하선을 시키거나 승객 전원에 대한 검사를 검토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[가토 가쓰노부 / 일본 후생노동상] <br>"선내에 여러 감염도 있으니, 하선 전 한 번 (전원) 검사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어서 그런 것들을 감안하며 (판단하겠습니다.)" <br> <br>이런 가운데 한국인 탑승객 14명은 발열 등 고위험군 검사 대상에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> <br>요코하마에서 채널A 뉴스 김범석입니다. <br>bsism@donga.com <br> <br>영상취재 : 박용준 <br>영상편집 : 장세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