'머리카락 보다 얇다'…누르면 빛나는 전자피부 개발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미래를 그린 영화에서 피부에 이식된 디스플레이를 종종 볼 수 있는데요.<br /><br />실제로 이런 기술에 한 걸음 다가가는 연구결과가 나왔습니다.<br /><br />국내 연구진이 압력을 받으면 빛을 내는 초박형 압력 센서를 개발했습니다.<br /><br />이호진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머리카락 두께보다 얇은 비닐막에 손가락을 갖다 대자 빨간 불빛이 들어옵니다.<br /><br />지문의 모양에 따라 빛의 모양이 달라집니다.<br /><br />한국전자통신연구원이 개발한 초박형 압력 디스플레이 센서입니다.<br /><br />얇은 막에 나노 복합소재를 코팅해 만든 센서에 QLED디스플레이를 붙여 만들었습니다.<br /><br /> "본 기술은 누르는 즉시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 되니까 사용자의 편리성이 증대된 압력센서를 개발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."<br /><br />기존의 압력센서보다 더 얇아졌을 뿐만 아니라 민감도도 20배 이상 높아졌습니다.<br /><br />이번에 개발된 센서는 지문의 골까지도 압력 차이를 감지할 수 있어 다양한 생체인증기술에 활용이 가능합니다.<br /><br />이 초박형의 압력센서를 만드는데에는 불과 10분 밖에 걸리지 않습니다.<br /><br />비교적 만들기가 쉽다보니 상용화에도 용이합니다.<br /><br />영화에서나 볼 수 있던 생체인증 기술에 한걸음 더 다가간 셈입니다.<br /><br /> "투명 보안 디스플레이에 사용하려고 하고 있고요. 투명 보안 디스플레이는 핸드폰이라던지 아니면 출입문, 아니면 자동차에 이용해서 생체인증가지고 저희가 인증할 수 있는 부분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."<br /><br />또한 맥박의 압력까지도 감지해, 전자피부로 활용하면 원거리 진맥과 건강상태 확인 등에도 활용이 가능합니다.<br /><br />한국전자통신연구원은 안정성을 추가 검증하는 연구를 진행하며 보안, 전자, 의료 등 관련 산업으로 기술을 이전할 계획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이호진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