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경기도의 마스크 공장 창고가 텅 비었습니다. <br><br>하루 최대 500만 장이 팔려나가기도 한다는데요. <br> <br>반면 기계가 돌아가는 공장은 24시간 마스크를 찍어내느라 그야말로 전시상황입니다. <br> <br>박선영 기자가 현장에 다녀왔습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 직원들의 발열 체크로 마스크 공장의 하루는 시작됩니다. <br><br>[현장음] <br>"35.6도" <br> <br> 방진복에 마스크는 기본. <br> <br>장갑에 위생모까지 모두 착용해야 작업장 출입이 가능합니다. <br> <br>[박선영 기자] <br>"마스크 제조 공정에 들어서려면 이렇게 먼지를 털어내는 에어샤워까지 마쳐야 합니다. 저도 마스크 제작에 참여해보겠습니다.”<br><br> 겉면과 필터 등 4가지 원단을 압착해 초음파로 마스크 모양을 만듭니다. <br> <br>마크스를 귀에 고정해주는 밴드까지 연결해서 절단하면 제품이 완성됩니다. <br><br> 대다수 제조 공정은 자동이지만 오염물이 묻진 않았는지 최종 확인하는 작업 만큼은 사람의 손을 거칩니다. <br><br> 최근 폭증하는 주문에 대처하려면 한 시간 동안 한 사람이 확인해야 하는 마스크만 2천 장에 달합니다. <br> <br>[남숙현 / 마스크 제조업체 직원] <br>“아무래도 피곤하죠 눈이. 제가 하는 것은 한 1만 4천, 1만 5천 개 정도 검사하는 것 같아요.” <br> <br> 주 52시간제와 상관 없이 연장근무가 허용돼 2개조로 24시간 공장이 돌아갑니다. <br> <br> 한 달 전만 해도 재고가 쌓여있던 창고는 텅 비었습니다. <br> <br>[김경대 / 마스크 제조업체 본부장] <br>“현재는 당일 출하가 다 되고 있는 상태입니다. 500만 개 이상 가지고 있던 (재고) 제품도 한 순간에 다 출하됐습니다.” <br> <br> 사재기와 밀수출 등으로 마스크 제조와 유통에 대한 소비자의 시선이 좋지 않지만 <br> <br>코로나 사태 속에 비상근무 체제를 묵묵히 버티는 이유가 있다고 말합니다. <br> <br>[신재준 / 마스크 제조업체 직원] <br>“허리도 끊어질 듯이 아프고 다리도 아프지만 세계적으로 재난 상태이니까 애국하는 마음으로 일하고 있습니다.” <br> <br> 총성없는 마스크 전쟁 속에, 늦은 밤에도 불을 환하게 밝힌 마스크 공장은 쉴 새 없이 가동됩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박선영입니다. <br> <br>tebah@donga.com <br>영상취재 : 이기상 <br>영상편집 : 김민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