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북미권에서 '봉준호 앓이'가 시작됐습니다. <br> <br>영화 기생충뿐만 아니라 봉준호 감독 작품을 모두 몰아보는 미국 젊은이들이 생겨나고 있는데요. <br> <br>현실을 비틀며 던지는 묵직한 메시지가 타국의 2030 밀레니얼 세대까지 매료시킨 겁니다. <br> <br>워싱턴에서 김정안 특파원이 전해 왔습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발렌타인데이에 사흘 연휴까지 이어지면서 미국 극장가는 말 그대로 문전성시입니다. <br> <br>화두는 아카데미 4관왕을 차지한 봉준호 감독의 영화 '기생충'. <br> <br>[임마누엘 / 관람객] <br>"자막이 들어간 외국인 감독 영화라는 점은 전혀 문제가 아니에요. 정말 보고 싶은 영화죠." <br><br>아카데미 수상 직후 박스오피스 순위는 전주보다 8계단 껑충 뛴 4위를 기록했습니다.<br> <br>북미 박스 오피스 상위 5위권에 단숨에 진출한 영화 기생충은 긴 연휴를 맞아 흥행가도를 달릴 것으로 보입니다.<br> <br>주말 저녁, 지인들을 초대한 네이트 씨는 봉 감독의 작품들을 함께 보고 열띤 토론을 이어갑니다. <br> <br>[네이트 / 봉준호 감독 팬]<br>"선악이 분명치 않고 같은 서민층 캐릭터들끼리의 잔인한 투쟁도 흥미로웠어요." <br> <br>[미셀 / 봉준호 감독 팬 ]<br>"맞아요, 그 부잣집에서의 일자리를 위해서죠." <br> <br>소득 불평등에 대한 불만, 미래에 대한 불안감을 느껴온 2030 밀레니얼 세대들이 특히 봉 감독의 작품 메시지에 열광하고 있습니다. <br><br>미국 주류 언론들과 영화전문사이트들은 앞다퉈 봉 감독의 작품들을 소개하고 나섰습니다.<br> <br>북미 배급사 측은 봉 감독의 전작 '살인의 추억'을 재개봉할 예정입니다. <br><br>언어 장벽을 뛰어넘어 공감을 이끌어낸 봉준호 감독 신드롬은 당분간 식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워싱턴에서 채널A뉴스 김정안입니다. <br><br>jkim@donga.com <br>영상취재 : 정명환(VJ) <br>영상편집 : 구혜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