미국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작품상을 비롯해 4관왕을 달성한 영화 '기생충'의 봉준호 감독과 배우·제작진들이 기자회견을 열었습니다. <br /> <br />오스카상 수상의 생생한 뒷얘기를 전할 것으로 보이는데요. <br /> <br />기자회견장으로 가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[봉준호 / '기생충' 감독] <br />그래서 그렇게 해서 마지막에 결국 그것이 아카데미 오스카로서 피날레를 장식하게 되는 것이니까 오랜 전통을 가진 과정이었다는 생각이 들고. 그 과정에 함께 하셨는데 어떠셨는지. <br /> <br />[송강호 / 배우] <br />감독님께서 좋은 말씀 다 잘해 주셨고. 저는 미국에 처음 갈 때 어떻게 보면 처음 경험하는 과정이고 이러다 보니까 그냥 아무 생각 없이 갔다고 해도 무방한데. <br /> <br />6개월 동안 최고의 예술가들과 호흡하고 늘 보면서 얘기 나누고 또 작품도 보고 이 과정을 밟다 보니까 미국에서도 제가 이런 소감을 이야기한 적이 있는데. <br /> <br />참 내가 아니라 그분들, 그러니까 타인들이 얼마나 위대한가를 점점 알아가는 과정이었지 않나. 그래서 상을 받기 위해서 이 과정을 밟는다기보다는 우리 작품을 통해서 그분들과 세계 영화인들과 어떻게 호흡하고 어떤 공통점에 대한 소통과 공감을 할 수 있나. <br /> <br />이런 생각들도 많이 가지고 참 많은 걸 느끼고 배웠던 것 같습니다. 그래서 6개월이 지난 이 시점에서는 참 제 자신이 작아지는 그런 느낌. <br /> <br />그만큼 위대한 예술가들을 통해서 많은 걸 느꼈던 그런 시간이었던 것 같습니다. 그리고 로컬 얘기 물어보셨는데 제가 처음 캠페인 하는 와중에 무슨 도발식이나 하겠어요. <br /> <br />그냥 그때 질문 내용이 영화제 성격에 관한 얘기 나오다가 칸, 베니스, 베를린은 국제인터네셔널영화제고 아카데미는 아무래도 미국 중심 아니겠느냐. <br /> <br />그런 걸 비교하다가 그냥 쓱 나온 단어일 뿐인데 그게 어떤 미국 젊은 분들이 그걸 트위터에 많이 올렸나 봐요. 그래서 그게 어떻게 보면. 제가 그런 전략을 갖고 얘기한 그런 건 전혀 아니고. 대화 와중에 자연스럽게 나온 것이었고요. <br /> <br />또 처음에 하셨던 질문, 빈부격차를 다룬 이런 것들이 이번이 처음은 아닌데 왜 이번에 폭발력이. 괴물 때는 괴물이 한강변을 뛰어다녔고 설국열차는 미래 기차가 나오는 둘 다 SF적 요소들이 많은데 이번 영화는 사실 그런 게 없잖아요. <br /> <br />되게 우리 동시대의 얘기고 우리 이웃에서 볼 수 있을 법한 이야기들을 한국의 뛰어난 앙상블의 배우들이 그걸 되게 실감나게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pn/0301_20200219113018979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