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대구 소식으로 이어갑니다.<br><br>워낙 많은 검사 대상자가 몰리다보니 선별진료소는 마비가 될 위기에 처해 있습니다.<br><br>현장 연결해 자세한 이야기 들어봅니다.<br><br>[질문] 배유미 기자, 선별진료소가 마비될 정도로 많은 환자가 몰리고 있나요?<br><br>[리포트]<br>네, 확진자가 계속 늘면서 검사를 받아야 할 의심환자들도 폭발적으로 늘고 있습니다. <br> <br>이들을 검사해야할 선별진료소도 과부하에 걸린 상태인데요. <br> <br>일부 선별진료소가 폐쇄되면서 부담이 가중되고 있습니다. <br> <br>제가 있는 이 병원도 응급실에서 확진자가 발생하는 바람에 선별진료소가 폐쇄됐었는데요 <br> <br>조금 전부터 외부에 선별진료소를 새로 짓고 있습니다. <br><br>대구시는 15개 선별진료소 중 2곳이 문을 닫았고, 일부 선별 진료소 역시 제 기능을 하지 못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[권영진 대구광역시장] <br>선별진료소 특히 구군 보건소가 사실상 너무 많은 로드가 걸리고 있습니다 지금 병원 방역체계가 뚫리면서 병원 내 선별진료소가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는 곳이 있습니다. <br> <br>대구시는 정부에서 파견한 공중보건의 25명을 구·군 보건소에 배치한 데 이어, 중앙정부에 검체 검사를 도울 공중보건인력과 역학조사관, 신천지 의심환자 검사를 도울 이들을 파견해 달라고 요청했습니다. <br><br>한편 식품의약품안전처는 매점매석으로 적발된 보건용 마스크 221만개를 대구경북지역에 우선 공급하기로 했습니다. <br> <br>[질문] 환자가 폭발적으로 늘고 있어서 병실이 부족할까 걱정도 됩니다. 괜찮습니까?<br><br>네, 음압병실 개수를 따지는게 이젠 무의미할 정도로 병실 부족이 심각한 상황인데요. <br> <br>정부가 대구시 건의를 받아 들여 음압병실에 한 명씩 격리 수용하는데서 병동 자체를 격리시킨 뒤, 일반 병실을 여러 명이 함께 쓰는 것을 허용했습니다. <br> <br>음압병실은 폐렴 증상 등이 나타난 중증환자에게 배정됩니다. <br><br>여기에 대구의료원과 계명대 동산병원을 코로나19 확진자 입원치료에만 쓰기로 했습니다 <br> <br>대구시는 코로나19 예방을 위해 시민들에게 외출을 자제하고 집에서도 가급적 마스크를 착용할 것을 당부했습니다. <br> <br>또 이번 주 지역 내 모든 종교활동을 중지해 달라고 호소했습니다. <br> <br>지금까지 대구에서 전해드렸습니다. <br> <br>yum@donga.com <br>영상취재 : 이기현 <br>영상편집 : 이혜리