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오늘 종일 화제였던 단어 ‘봉쇄’입니다. <br> <br>청와대와 정부, 여당은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대구·경북에 '봉쇄 정책'을 펴기로 했습니다. <br> <br>그런데, 중국 우한처럼 물리적 이동까지 제한하려는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오면서, 대통령이 직접 해명할 정도로 논란은 커졌습니다. <br> <br>먼저, 최수연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정부와 여당은 감염병 특별관리지역으로 지정된 대구·경북 지역에 대해 '봉쇄 정책'을 시행하기로 했습니다. <br> <br>[홍익표 / 더불어민주당 수석대변인] <br>"대구·경북 청도 지역은 통상의 차단조치를 넘어서는 최대한의 봉쇄 정책을 시행, 확산을 조속히 차단하기로 하였습니다. " <br> <br>출입을 제한할 수 있는 것처럼 언급하기도 합니다. <br> <br>[홍익표 / 더불어민주당 수석대변인] <br>"최대한 이동이나 일정정도 행정력을 활용하는 것들을 검토 중에 있습니다. " <br> <br>그러자 '봉쇄'가 중국 우한처럼 지역 출입 자체를 막는거냐며 비난이 쏟아졌습니다. <br> <br>[전희경 / 미래통합당 대변인] <br>"이미 대구경북민의 가슴은 무너진 다음입니다. 우한 코로나에 제대로 대책 마련도 못하는 당정청이 이제는 일말의 조심성과 배려심도 없는 절망적 형국입니다." <br><br>'봉쇄'는 의료계에서 확진 환자와 접촉자를 빨리 찾아 격리하고 차단하는 것을 뜻합니다. <br> <br>감염자나 접촉자의 이동 제한을 강화하겠다는 의미가 잘못 전달된 겁니다. <br> <br>[김부겸 / 더불어민주당 의원] <br>"당이든 정부든 이런 문제 얘기할 때는 받아들이는 시민 받아들이는 국민 입장에서 항상 셈심한 배려를 가지고 발언해주시기를 요청합니다." <br> <br>논란이 수그러들지 않자 대통령까지 나섰습니다. <br> <br>[문재인 대통령] <br>"지역적인 봉쇄를 말하는 것이 아니고 전파와 확산을 최대한 차단한다라는 것임을 분명히 밝힙니다. " <br> <br>대통령의 해명에도 '봉쇄' 논란은 좀처럼 가라앉지 않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최수연입니다. <br>newsy@donga.com <br> <br>영상취재 : 한규성 <br>영상편집 : 민병석<br>